日고구려마을 '고마군' 1천300주년 기념비 현지 건립(종합)

2016. 4. 23. 14:17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고구려 보장왕 아들 약광, 유민 모아 마을 세워..기념행사에 日왕족 참석 유흥수 주일대사 "한일 우호관계의 산증인"..현지사회도 큰 관심
'고마군' 1천300주년 기념비 건립 (히다카=연합뉴스) 고은지 기자 = 일본 내 고구려 마을인 '고마(高麗)군' 창설 1천300주년을 기리는 기념비 제막식이 23일 고마군이 위치한 사이타마(埼玉)현 히다카(日高)시 고마신사 내에서 진행되고 있다. 2016.4.23 eun@yna.co.kr
'고마군' 1천300주년 (히다카=연합뉴스) 고은지 기자 = 일본 사이타마(埼玉)현 히다카(日高)시 고마신사에서 열린 '고마(高麗)군' 창설 1천300주년 기념행사에 참석한 아키히토(明仁) 일왕의 사촌 동생인 다카마도노미야 노리히토(高円宮憲仁·1954∼2002)의 부인 히사코(久子) 여사(왼쪽)와 고마신사의 제60대 궁사(宮司·신사의 최고 책임자)인 고마 후미야스(高麗文康·오른쪽 붉은색 의상 입은 인물). 2016.4.23 eun@yna.co.kr

고구려 보장왕 아들 약광, 유민 모아 마을 세워…기념행사에 日왕족 참석

유흥수 주일대사 "한일 우호관계의 산증인"…현지사회도 큰 관심

(히다카=연합뉴스) 고은지 기자 = 일본 내 고구려 마을인 '고마(高麗)군' 창설 1천300주년 기념비가 23일 고마군이 위치한 일본 사이타마(埼玉)현 히다카(日高)시에 세워졌다.

고마군은 메이지유신(1868년) 이후 군에서 폐지돼 이름만 유지하다가 1955년 행정구역명에서 완전히 사라졌지만, 고마군의 창설자이자 고구려 마지막 왕인 보장왕의 아들 약광을 모신 고마신사가 남아 있다.

고마군과 약광을 기리고자 2010년 6월 결성된 고마약광회는 이날 고마신사에서 기념행사를 열고 약광이 일본으로 건너온 고구려 유민들을 모아 고마군을 만들었다는 '속일본기' 내용을 비문으로 적은 기념비를 공개했다.

행사는 고마약광회·고마신사·히다카시 공동 주최로 열렸다.

세로 1.4m·가로 2m 장방형 모양의 기념비 중앙 윗부분에는 고구려 고분벽화에서 발견된 '삼족오'(三足烏·태양 안에 산다는 세 발 달린 상상의 까마귀)가 새겨졌다.

그 아래에는 '서기 703년 4월 4일, 종5위하 고려 약광에게 왕성(王姓)을 내리다. 서기 716년 5월 16일 스루가(駿河), 가이(甲裴), 사가미(相模), 가즈사(上總), 시모우사(下總), 히타치(常陸), 시모쓰케(下野) 7개국의 고려인 1천799명을 무사시(武藏)국에 이주시킨 게 고려군의 시초다'라고 쓰였다.

여기서 고려는 고구려를 의미한다.

뒤편에는 기념비 건립을 위해 힘을 모은 회원들의 이름이 적혔다.

약 6년 전 10명도 채 안 되는 회원에서 시작한 고마약광회는 현재 회원 수가 223명에 달한다.

약광의 후손이자 고마신사의 제60대 궁사(宮司·신사의 최고 책임자)인 고마 후미야스(高麗文康)를 비롯해 일본의 한국 도예가인 심수관의 후손 심일휘 선생, 지난달 별세한 우에다 마사아키(上田正昭) 교토(京都)대 전 명예교수 등이 포함됐다.

고마약광회는 원래 역사를 공부하는 모임에서 출발했지만, 일본 내 유일하게 남은 고대 한국 마을인 고마군과 고마신사를 기리고자 지난 1년간 기념비 건립을 추진해 왔다.

고마약광회 김영진 이사장은 "약광의 업적을 기리고 양국 친선 나아가 동북아시아 친선에 이바지하고자 하는 마음에서 기념행사와 기념비 건립을 추진했다"며 "재일교포는 물론 일본에서도 우호적 분위기"라고 설명했다.

이날 행사에는 아키히토(明仁) 일왕의 사촌 동생인 다카마도노미야 노리히토(高円宮憲仁·1954∼2002)의 부인 히사코(久子) 여사, 하세 히로시(馳浩) 일본 문부과학상(교육장관), 야가사키 테루오(日高) 히다카 시장 등 일본 주요 인사들이 다수 참석했다.

한국 측에서는 유흥수 주일한국대사, 김호섭 동북아역사재단 이사장, 라종일 전 주일한국대사 등이 왔다.

유 대사는 "1천300년 지난 지금까지 고구려인의 자손이 이곳에서 생활하는 것이야말로 한일 우호관계 역사의 산증인"이라며 "양국 간 일어난 나쁜 일을 잊어서는 안 되지만 좋은 일도 기억해야 한다"고 말했다.

하세 문부과학상은 "이런 작은 행사 하나하나가 모여 한반도와 일본의 좋은 관계를 만들고 (밝은) 미래로 나아가는 계기가 될 것"이라며 자신이 지은 시('고마신사 휘파람새 우니 약광')를 읊었다.

히사코 여사는 비공식적 자리에서 "1천300년의 역사를 깊이 느끼고 간다"며 "고구려의 흔적을 보면서 양국이 얼마나 오래 교류했는지 알게 됐다"고 소감을 밝혔다.

eun@yna.co.kr

☞ 동전으로 받은 밀린 월급의 진실은…사장·종업원 맞고소
☞ 아기 이름이 슈퍼맨·간달프 '눈에 띄네'…청산가리는 금지
☞ "절대 손 안댈테니 용서해"…친딸 성추행 아빠의 후회
☞ 소일거리서 연매출 5억 기업 우뚝 선 '할머니 도시락'
☞ "교도관 때문에 내연관계 들통" 수감자가 손해배상소송

▶연합뉴스 앱 지금 바로 다운받기~

<저작권자(c) 연합뉴스, 무단 전재-재배포 금지>

Copyright © 연합뉴스. 무단전재 -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