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댓글 흔적 없다"..경찰 수사 논란

2012. 12. 17. 10:09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앵커멘트]

국가정보원 직원이 문재인 후보 비방 댓글을 달았다는 의혹을 수사하는 경찰이 여직원 컴퓨터에서 댓글 흔적을 발견하지 못했다고 발표했습니다.

하지만 경찰은 여직원이 인터넷 포털사이트 아이디를 40여 개나 쓰고 있었는데도, 포털 측의 협조를 받아 수사하지 않은 점과 경찰의 발표 시점을 놓고 논란이 일고 있습니다.

취재기자 연결합니다. 최원석 기자!

경찰 중간수사 내용 설명해주시죠.

[리포트]

경찰은 지난 13일, 비방 댓글 작성자라는 의혹을 받는 국정원 여직원 김 모 씨의 데스크톱과 노트북을 임의제출받아 분석했는데요.

지난 10월부터 지난 13일까지, 직원 김 씨가 인터넷에 접속한 사용 기록을 확인했습니다.

경찰 조사 결과, 김 씨는 포털 사이트 아이디 40여 개를 사용해왔던 것으로 밝혀졌습니다.

또 김 씨 컴퓨터 2대에서 데이터가 일부 삭제된 흔적도 나왔는데요.

서울경찰청 증거분석팀은 삭제 데이터까지 복구해 인터넷 댓글을 확인했지만 문 후보 관련 댓글을 확인하지 못했다고 밝혔습니다.

지금까지 수사로는 민주당이 제기한 의혹을 확인할 만한 정황을 발견하지 못했다는 건데요.

경찰은 그러나 이 직원의 인터넷 댓글을 분석하면서 포털사이트 측의 협조조차 받지 않은 것으로 드러났습니다.

김 씨 컴퓨터 하드디스크에 남아있는 기록만 보고, 댓글을 단 적이 없다고 결론내린 겁니다.

경찰은 김 씨가 다른 컴퓨터로 댓글을 달았는지, 또 스마트폰을 이용해 댓글을 단 적이 있는지는 확인하지 못했다고 밝혔습니다.

김 씨에 대해 압수수색 영장 등 강제 수사를 진행하지 못했기 때문입니다.

경찰도 김 씨가 문 후보 관련 댓글을 단 적이 전혀 없는지는 확언할 수 없다고 밝혔습니다.

다만 제출된 컴퓨터 2대에서는 댓글 작성 기록이 나오지 않았다는 게 경찰 설명입니다.

하지만 대선을 불과 사흘 앞두고, 설익은 수사 내용을 발표하는 것을 두고 논란이 불거지고 있습니다.

지금까지 YTN 최원석입니다.

▶ 국정원 직원 소환 조사..."억울하다"

▶ "국정원 직원 인권침해"·"새누리 불법 선거"

▶ 문재인 후보 측, "경찰 수사 결과, 심각한 부실·정치적 의도"

▶ 새누리 SNS 관계자, 선관위 명예훼손 고소...민주 "적반하장 극치"

▶ '국정원 댓글 즉각 수사' 주장 표창원 교수 사의

☞ [다운로드] 생방송과 뉴스속보를 한 눈에...YTN뉴스ON

☞ YTN 긴급속보를 SMS로!

☞ 스마트폰으로 즐기는 24시간 뉴스의 세계...YTN 어플리케이션

[저작권자(c) YTN & Digital YTN. 무단 전재-재배포 금지]

Copyright © YTN.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