민주 '포스트 대선 체제' 기로..당내 갈등 고조

2012. 12. 24. 11:31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주류-비주류, 내부쇄신·통합 등 수습책 입장차

주류-비주류, 내부쇄신ㆍ통합 등 수습책 입장차

(서울=연합뉴스) 류지복 기자 = 민주통합당의 대선 패배 이후 당의 활로를 모색하기 위한 방식 등을 둘러싼 내부 갈등이 고조되고 있다.

주류와 비주류 간 당 수습을 담당할 비상대책위원회 구성 문제를 놓고 팽팽히 맞선 가운데 민주당은 24일 당무위원회와 당무위-의원총회 연석회의를 잇따라 열어 `포스트 대선' 체제를 논의했다.

주류 쪽은 대선 이후 지도부 공백사태 해소와 내부 수습을 위해 비대위 구성을 서둘러야 한다는 입장이지만 비주류 쪽은 주류 측의 기득권 유지와 당권 재장악을 위한 의도가 담긴 것이라는 강한 의심을 갖고 있다.

일단 양측 간 논란이 된 비대위원장 인선 문제는 새로 선출되는 원내대표가 겸임하는 쪽으로 가닥을 잡은 것으로 보인다.

주류 측은 원내대표와 별도로 외부인사 등을 비대위원장을 선임하는 것을 염두에 뒀지만 비주류 측은 문재인 전 대선 후보가 비대위원장 지명권이 없다는 이유 등을 들어 원내대표가 비대위원장을 겸할 것을 요구해왔다.

비주류 측 김동철 의원은 PBC 라디오 `열린세상 오늘'에 출연해 "(비대위원장으로) 바깥의 시민사회 쪽은 적절치 않은 것같다"며 "민주당의 문제이기 때문에 민주당 스스로 주체적으로 풀어야 한다"고 말했다.

원내대표가 비대위원장까지 겸임하면 원내대표 경선이 주류와 비주류 간 대선 이후 주도권 장악을 위한 첫 대결의 장이 될 전망이다.

특히 주류와 비주류는 공히 처절한 내부쇄신과 범야권 통합의 성사를 민주당의 살 길이라고 여기고 있지만 각론에서 입장차가 적지 않아 갈등이 격화될 소지를 안고 있다.

주류 측에서는 문 전 후보의 선대위가 모든 계파를 참여시키는 `용광로 선대위'로 꾸렸기 때문에 친노(친노무현) 인사들만을 향해 화살을 쏘는 것은 지나치다는 인식이 강하다. 책임론이 특정계파 배제 등 당의 분열로 이어지면 안된다는 것이다.

그러나 비주류 쪽에서는 친노 책임론을 강하게 주장하고 있어 추가적인 인적 쇄신론을 요구할 가능성이 높다. 비주류 측은 이날 오전 회동에서도 이런 입장을 재확인한 데 이어 당무위 회의에서도 친노 책임론을 성토한 것으로 알려졌다.

범야권 통합 문제를 놓고서도 주류는 민주당 중심의 질서있는 통합에 비중을 둔 것처럼 보인다. 민주당을 중심으로 범야권 대선공조기구였던 `국민연대', 그리고 안철수 세력이 함께 하면서 특정 세력이나 계파를 배제하지 않는 통합의 그림이다.

주류 측 한 인사는 "민주당의 반성과 쇄신을 토대로 문 전 후보에게 표를 던진 1천467만명의 유권자를 담아내는 작업이 필요하다"며 "그것이 민주당의 확장일지, 새로운 정당 창당일지는 다양한 의견을 수렴해 결정할 부분"이라고 말했다.

반면 비주류 측은 안철수 전 후보를 상수로 놓고 민주당의 처절한 쇄신 등 야권 정계개편을 거론하고 있다.

비주류 측 안민석 의원은 CBS라디오 `김현정의 뉴스쇼'에 출연해 "민주당이 기득권을 포기하지 않는다면 안철수 세력은 신당을 따로 추진할 것같다"며 "그러면 민주당은 외부 힘에 의해 분열되거나 소멸될 것"이라고 말했다.

그는 "당의 주류는 계파를 해체하고 비대위 수습과정에서 손을 떼는 것이 맞다"며 "안철수를 포함해서 (대선 득표율인) 48%의 지지자들을 담아내는 국민신당을 만드는 새로운 길을 가겠다는 결의가 필요하다"고 말했다.

jbryoo@yna.co.kr

朴당선인, 이르면 내일 비서실장ㆍ대변인 발표(종합)

<박스오피스> '레미제라블' 1위..120만 관객

서울 -13.6도 올겨울 최저…밤엔 '화이트 크리스마스'

기성용 30여분 활약…스완지시티, 맨유와 1-1 무승부

`빚 폭탄' 가계 재무여력 금융위기 당시 3/1 수준

<연합뉴스 모바일앱 다운받기>

<포토 매거진>

<저작권자(c)연합뉴스. 무단전재-재배포금지.>

Copyright © 연합뉴스. 무단전재 -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