저소득층 빚 1년6개월 새 49% 급증..가계부채 質 나빠진다

2011. 10. 30. 18:35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한은 하반기 금융안정보고서은행 돈 빌린 3명 중 1명, 2금융에도 빚…주택담보대출 27%는 상환능력 취약

저소득층과 저신용자가 최근 가계부채 증가를 주도하고 있으며 주택담보대출의 절반가량은 주택구입 목적이 아닌 생활자금이나 기업운전자금 등 다른 용도인 것으로 나타났다. 또 금리가 높은 2금융권의 대출 증가 속도가 은행보다 빨라 가계 이자부담이 커지고 있다. 한국은행은 30일 '하반기 금융안정보고서'에서 가계부채의 질이 나빠지면서 금융 안정을 위협할 수 있다고 지적했다.

◆생계형 대출 증가

한은에 따르면 최근 가계대출은 주택구입 목적보다 생활자금 성격이 증가세를 주도하고 있다. 국내 9개 은행의 신규 주택담보대출 중 '주택구입 외' 목적의 대출 비중이 2009년 상반기 42.1%에서 올해 상반기 48.4%로 높아진 게 단적인 예다.

최근 신용대출 증가율이 주택담보대출 증가율보다 높아진 것도 같은 맥락이다. 2009년만 해도 신용대출은 주택담보대출보다 증가 속도가 느렸다. 그러나 지난해부터 상황이 역전됐고 올해 상반기에도 신용대출 증가율이 4.1%로 주택담보대출 증가율 3.7%를 앞질렀다. 한은 관계자는 이에 대해 "가계 소득이 늘지 않는 가운데 전셋값 상승에 따른 주거비 부담,높은 물가 상승세 등으로 생계비 지출 수요가 늘어난 결과"라고 설명했다.

◆원금 상환 부담 증가

주택담보대출의 원금 상환 부담이 커지고 있다. 지난 6월말 현재 원리금(원금+이자)을 상환 중인 주택담보대출 비중은 22.0%로 지난해 말(17.7%)보다 높아졌다. 이 비중은 시간이 갈수록 더 높아질 전망이다.

문제는 그동안 이자만 갚던 가계가 원금까지 갚게 되면 연체의 늪에 빠질 가능성이 높다는 점이다. 한은은 대출잔액이 연소득의 400%를 넘는 등 부채상환 능력이 떨어지면서 현재 이자만 내고 있는 '부채상환 능력 취약대출'이 전체 주택담보대출의 26.6%에 달한다고 분석했다. 또 이런 대출 중 34.8%는 올해와 내년 하반기에 원금 상환이 시작된다고 덧붙였다. 한은 관계자는 "주택가격이 급락하거나 금리가 상승하면 보유주택을 낮은 가격에 매각해야 하는 상황이 발생할 수 있다"고 내다봤다.

◆저소득층 · 비은행권 부채 급증

저소득층에 대한 가계대출도 크게 늘어나고 있다. 연소득 2000만원 미만 저소득층의 가계대출 잔액은 2009년 말 57조원에서 지난 6월 말 85조원으로 49.1% 증가했다. 같은 기간 중 · 고소득층은 590조원에서 639조원으로 8.3% 증가하는 데 그쳤다. 저소득층의 가계대출 증가율이 다른 계층의 6배에 달한다. 또 이 기간 가계대출 증가액 77조원 가운데 37%는 연소득 2000만원 미만,29%는 연소득 2000만~3000만원 미만 계층에 집중됐다.

권역별로는 2금융권의 대출 증가가 두드러졌다. 은행의 대출 증가율은 이 기간 8.5%에 그친 반면 2금융권은 17.9%에 달했다. 상호금융이 23.5%로 가장 높고 여신전문 금융기관(21.1%),상호저축은행(21.7%) 순이었다.

여러 금융회사에서 돈을 빌린 다중채무자도 리스크 요인이다. 지난 6월 말 현재 은행 대출자의 33%는 2금융권에도 빚을 지고 있는 것으로 파악됐다.

주용석 기자 hohoboy@hankyung.com

[포토] 김혜수, '감탄사가 절로 나오는 몸매'

무리한 택배 요구사항 '어떻게 배달하란 말이야!' 난감

[포토] 김민희, 아찔한 패션 '속이 훤히 보이네~'

버스커버스커 vs 울랄라세션 '신나게 웃다가 울고 말았다'

[포토] '피겨퀸' 김연아, '깜찍한 포즈~'

< 성공을 부르는 습관 >ⓒ 한국경제신문,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한국온라인신문협회의 디지털뉴스이용규칙에 따른 저작권을 행사합니다 >

Copyright © 한국경제.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