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인구 3~4명중 1명꼴 '빚 폭탄' 신용등급자

2010. 8. 1. 06:13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금리인상 직전 주의ㆍ위험 등급자 753만4천명

경제 성장에 高등급 늘고 低등급 줄어 '소폭 개선'

(서울=연합뉴스) 한승호 기자 = 지난달 전격적 금리 인상이 결정되기 직전인 지난 6월 말 현재 '빚 폭탄'을 안고 있는 주의ㆍ위험 등급자가 경제활동인구 3~4명 중 1명꼴에 이르는 것으로 나타났다.

경제 성장이 지속되면서 금융거래 상위 신용등급자는 늘고 하위 등급자가 주는 소폭의 신용등급 개선이 이뤄지고는 있지만 금리 인상기에 저신용등급자의 빚 부담은 늘어만 가고 있다.

1일 금융감독원에 따르면 개인 신용등급 평가사인 한국신용정보의 지난 6월 말 현재 1~10 신용등급 분류에서 '주의 등급'인 7~8 등급자는 586만5천159명, 최하위 '위험 등급'인 9~10 등급자는 166만8천796명인 것으로 집계됐다.

이들 주의 등급과 위험 등급은 모두 753만3천955명으로, 통계청이 발표한 지난 6월 경제활동인구 2천515만8천명의 30%에 해당한다. 만 15세 이상 취업자나 구직활동 경제인구 3~4명 중 1명꼴이다.

더욱이 단기 연체 경험이 비교적 많은 주의 등급자와 심각한 연체 경험이 있어 부실화 가능성이 매우 높은 위험 등급자는 금리 인상 여파로 빚을 갚는데 더욱 어려움을 겪게 될 전망이다.

금융통화위원회는 지난달 9일 기준금리를 연 2.0%에서 2.25%로 인상, 지난해 2월 이후 16개월간 금리 동결 기간에 종지부를 찍고 금리 인상기에 들어섰다.

금융권 고위 관계자는 "주의등급이나 위험등급의 상당수는 대출을 갚기 어려운 장기 연체자이거나 이자가 비싼 사금융 기관에서 빚을 낸 경우라서 원리금은 물론 불어나는 이자 상환에 어려움을 겪게 될 것"이라며 "대체로 이런 금리 여파는 금리 인상 뒤 6개월 전후에 뚜렷하게 나타난다"고 말했다.

과중채무자 회생을 돕는 기관인 신용회복위원회 관계자도 "금융기관 채무불이행자와 저신용자들에게는 금리가 올라가면 상환 부담이 증가하는 것은 물론"이라며 "제도권 금융기관에서 대출받지 못하는 이들에 대한 대출재원을 늘려야 신용 회복에 도움을 줄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그는 "금융지원도 필요하지만 이와 함께 일자리 창출과 같은 좀 더 근본적인 대책으로 이들이 스스로 일을 해서 채무를 갚아나가게 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한편 경제 성장이 지속되면서 개인 신용등급 상위 1~5등급 비중은 지난 3월 말에 비해 소폭 증가하고 하위 6~10등급 비중은 다소 줄었다.

최상위 등급인 1등급은 7.66%→7.96%, 2등급은 13.35%→13.43%, 3등급은 11.50%→11.54%, 4등급은 13.51%→13.64%, 5등급은 28.57%→28.76% 등으로 각각 늘었다.

또 6등급은 5.17%→5.01%, 7등급은 9.55%→9.38%, 8등급은 6.13%→5.92%, 9등급은 2.78%→2.68%, 최하위 10등급은 1.70%→1.67% 등으로 줄었다.

금감원 관계자는 "경기가 회복되면서 대출 연체자 수가 다소 줄고 신용등급도 소폭이나마 개선되고 있다"면서 "정부의 각종 서민지원 프로그램들도 신용등급 호전에 영향을 미친 것으로 보인다"고 말했다.

정부는 지난해부터 서민들의 창업자금 마련을 위한 '미소금융'을 확대하고 있으며, 지난달에는 신용등급 6등급 이하 저신용자를 대상으로 소액대출을 해주는 '햇살론'을 각 금융기관을 통해 출시했다.

hsh@yna.co.kr

<뉴스의 새 시대, 연합뉴스 Live>

<모바일 애플리케이션>

<포토 매거진>

<저작권자(c)연합뉴스. 무단전재-재배포금지.>

Copyright © 연합뉴스. 무단전재 -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