성원건설 '퇴출' 후폭풍..건설업계 줄도산 공포

2010. 4. 4. 06:56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자금난·해외사업지연 신용평가 'D등급' 업계, PF대출 규제·부도 루머까지 '삼중고'

[이코노미세계] 중견건설업체 성원건설이 '퇴출등급'을 받으면서 건설업계의 위기설이 고조되고 있다.

성원건설은 지난 3월 8일 주채권은행인 외환은행의 신용평가에서 사실상 퇴출등급인 D등급을 받았다.

이 때문에 건설업계 분위기는 흉흉하다. 여기에 '5월 위기설'까지 돌아 업계의 줄도산으로 이어지는 게 아니냐는 우려들이 나오고 있다.

부슬비가 내리던 지난달 9일 경기도 용인시 기흥구 언남동에 있는 성원건설 본사의 분위기는 '침통' 그 자체였다. 주채권은행의 신용평가에서 D등급이라는 퇴출등급을 받은 것이 충격이라는 분위기다.

◆중견 성원건설, 기업회생절차=

성원건설은 지난해 금융권이 시평 100위 이내 건설사 92곳을 상대로 실시한 신용위험평가에서 B등급을 받은 중견 건설사다. 신용위험평가는 정상(A), 일시적 부실징후(B), 개선작업(워크아웃·C), 기업회생절차(법정관리·D) 등의 단계로 나뉘는데 지난 해 일시적 부실징후인 B등급을 받았던 성원건설이 이번 평가에서 두 단계 떨어진 D등급을 받아 더욱 실망하는 분위기다.

성원건설 노조관계자인 손민식 교육선전 부장은 "우리는 C등급 정도로 예상했는데 실망이 크다. 신용평가에 대한 불만의 목소리가 높다"며 "회사가 사는 것이 우리가 사는 것이 아니겠냐. 회사를 살려야 되는데…"라며 말을 잇지 못했다.

지난 해 B등급으로 분류됐던 성원건설이 1년여 만에 퇴출 대상이 된 데에는 국내 건설·부동산 경기 부진에 따른 주택부문 실적 저조와 해외사업 지연 등이 결정적 역할을 했다. 성원건설은 지난 2008년 금융위기 때부터 자금사정이 어려워지기 시작했다. 여기에 지난해 8월 수주한 1조2000억원 규모의 리비아 토부룩 신도시 주택건설 프로젝트 선수금 1800억원을 받지 못하면서 급격히 유동성 위기에 빠졌다. 지난 해 말에는 어음 25억원을 막지 못하고 대주단 협약에 가입했다.

성원건설은 150억원의 체불임금, 1000억원에 이르는 협력업체 미지급금을 지불하지 못하는 상황에 이르게 됐고 결국 이번 평가로 기업회생절차를 밟게 된 것이다.

◆건설업계 위기, 노심초사=

건설업계는 성원건설 사태가 '연쇄 부도'로 이어지지나 않을까 노심초사하는 분위기다. B등급을 받았던 업체가 퇴출위기에 놓인 사례가 벌써 3번째이기 때문이다. 신창건설이 작년 3월 기업회생절차에 들어갔고 작년 8월에는 현진이 기업개선작업(워크아웃)을 신청한 바 있다.

지난달 9일 기자는 용인시 기흥구 언남동에 있는 성원건설을 찾아갔다. 분위기는 '침통' 그 자체였다.

중견업체들이 이렇게 맥없이 무너지자 건설업계의 위기감은 더욱 커졌다. 건설사들의 재무건전성 문제가 다시 수면 위로 떠오르면서 정부가 제2금융권 PF대출까지 옥죄기에 나섰기 때문이다. 건설업 위기가 금융업으로 확대되는 것을 막기 위한 정부의 고육지책이었지만 가뜩이나 자금 압박을 받고 있는 건설사들로서는 더욱 위축되는 분위기다.

건설업계 관계자는 "요즘은 이익을 내기 위해 회사를 운영하는 것이 아니다. 직원들 월급 때맞춰주는 것만도 감사한 일"이라며 "건설사를 하고 싶어서 하는 것이 아니라 어쩔 수 없이 회사를 끌고 가는 사업장이 많다"고 말했다.

또 다른 건설업계 관계자는 "건설업계 전체적으로 어려운 분위기다"며 "미분양 문제 등이 시급한 현안으로 "대형업체들만 살아남을 수 있는 환경"이라고 지적했다.

여기에 건설업계에서는 '5월 위기설'까지 나와 그 어느 때보다도 위기감이 팽배하다. 5월 위기설은 최근 미분양물량 증가에다 입주율마저 급격히 떨어지면서 신규 입주물량이 몰려있는 오는 5월께 주택·건설업계의 자금난이 최고조로 달해 부도가 속출할 것이라는 우려에서 비롯된 것이다.

업계에 따르면 올해 전국 신규입주 물량은 총 24만 가구에 달한다. 월별로 2만 가구 안팎이고 5월에는 약 3만으로 가장 많은 수치다. 최근 수도권조차 신규 아파트 입주율이 40%∼50%를 넘지 않는 상황을 감안하면 7만∼10만가구의 장기 미입주 사태를 초래 할 수 있다는 게 전문가들의 분석이다.

여기에 연내 만기가 돌아오는 프로젝트 파이낸싱(PF)이 많은 것도 문제다. 금융위원회에 따르면 지난 해 말 기준 은행·저축은행·보험·증권 등 금융권의 PF 대출 잔액이 82조4256억원에 달하는데 이중 40조원대가 연내 만기가 돌아온다.

◆국토해양부 '예의주시 중'=

이에 건설협회와 한국주택협회, 대한주택건설협회는 업계의 어려움을 정부에 전달하기 위해 지난 2월 11일 '주택건설산업 위기상황 해소를 위한 긴급 호소문'을 정부에 전달했다.

호소문에는 "주택시장이 미분양의 장기 적체와 감소하고 있는 주택공급물량, 주택대출규제 강화조치로 거래량 급감과 입주율 저조 등으로 침체의 골이 더욱 깊어져 민간 부문 주택건설 투자가 매우 악화되고 있는 실정"이라며 "주택경기 침체로 최근 미분양이 다시 증가하고 공공공사 저가 출혈수주로 은행권이 자금 회수 고삐를 죄어 중견건설업체들을 중심으로 부도설 확산 등의 악성 루머가 번지면서 멀쩡한 기업마저 자금 압박에 빠지는 사태도 우려되는 실정"이라고 주장했다.

이에 국토해양부 건설경제과 관계자는 "건설관련 3개 협회가 건의한 내용은 사안별로 각 부처에서 고려하고 있는 것으로 안다"고 말했다.

이어 이 관계자는 "미분양 적체, PF 대출문제 등이 대두되고 있고 몇몇 업체들이 퇴출수순에 있는 것은 사실이다. 그러나 거시경제 지표로 봤을 때 심각한 위기상황에 봉착한 것은 아니라고 생각한다. IMF 때와 같은 건설업계의 총체적 위기라고 보는 것은 아니라는 얘기다"며 "성급한 결론을 내리기에는 무리가 있다. 현재 시장동향 등을 모니터링하며 예의주시하고 있는 단계"라고 설명했다.

한편, 정부와 한나라당은 지난 3월 19일 지방 미분양 아파트에 한해 양도세 감면혜택을 내년 4월 까지 연장해주기로 했다.

조한비 기자 hanbi@segye.com

Copyright © 세계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