건설업계, '퇴출 쓰나미' 공포 엄습

이군호 기자 2010. 5. 31. 08:48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머니투데이 이군호기자][무작정 벌인 주택사업의 저주, 주택전문 중견건설사 死線을 넘나들어]

"지금 같은 상황이라면 그냥 내버려둬도 자연스럽게 구조조정이 가능할 정도다. 분양가상한제를 피한다고, 양도세 감면 폐지 전에 분양을 해야 한다며 부화뇌동 식으로 주택 분양을 늘린 것이 화근이 됐다."(한 경제연구소 임원)

"지난해만 버티면 글로벌 금융위기의 파고를 넘어설 줄 알았다. 지난해 정부도 경기 회복을 위해 아파트 구매 시 양도세를 한시 감면해주면서 분양시장에 활기가 돌았고 4대강 살리기 사업 등 공공공사 발주를 늘려 일감이 늘었다. 하지만 건설사들은 정부 우산 속에서 너무 안주했다. 올해 공공공사 발주가 줄고 싼 보금자리주택이 대거 공급되면서 건설사들이 설 자리를 잃었다. IMF 외환위기 때보다 더 심각하다"(한 중견건설사 고위임원)

건설업계에 '구조조정 쓰나미'가 몰려오고 있다.

지난 2008년 하반기 글로벌 금융위기 이후 근근이 버텨오던 건설사들에게 부도 임계점이 다가오고 있는 것이다. 올해를 버티느냐, 못 버티느냐에 기업의 운명이 달려있다는 자조섞인 푸념이 쏟아지고 있다.

특히 채권은행들이 강도높게 건설사들의 신용위험평가를 벌이면서 위기감이 더욱 고조되고 있다. 이미 지방에 아파트를 대거로 지은 중견 건설사들이 퇴출대상으로 거론되고 있다. 아파트 분양을 위해 대거 땅을 사들인 건설사도 사선을 넘나들고 있다.

지난해 실시한 신용위험평가의 부실 논란과 건설·부동산경기 침체가 장기화될 것으로 예측되면서 채권은행을 중심으로 이번이 부실기업을 정리할 수 있는 호기로 받아들여지고 있다. C(워크아웃)등급과 D(퇴출)등급이 많아질 것으로 우려되는 부분이다.

대통령부터 국토해양부장관, 금융감독위원장까지 건설사들의 도덕적 해이를 질타하며 구조조정 필요성을 강조, 채권은행의 의지를 강하게 만들고 있다. 국책연구기관인 한국개발연구원(KDI)은 건설사들의 '스트레스 테스트' 결과 부실위험이 높은 건설사가 2002년 외부감사 대상 건설사의 7.1%인 79개사에서 2008년 13%인 232개사로 급증했다며 구조조정 논거까지 제시했다.

이미 건설업계는 신창건설, 현진, 성원건설, 남양건설, 대우자동차판매, 금광기업, 풍성주택 등이 줄줄이 쓰러지는 모습을 목격했다. 남양건설을 제외하곤 대부분 주택사업 비중이 높은 중견 주택전문건설사들이다. 남양건설도 공공공사 비중이 높아 안정권이었지만 무리하게 벌인 초대형 주택사업이 발목을 잡았다.

결국 건설업계는 다음 순서가 누구냐를 숨죽이며 지켜보고 있다. 이미 시장에서는 어떤 기업은 그룹으로부터 지원이 사실상 끊겨 위험하다는 둥, 어떤 건설사는 만기가 돌아오는 프로젝트 파이낸싱(PF) 대출이 위험수준을 넘어섰다는 둥의 소문이 돌고 있다.

내년 도입되는 국제회계기준(IFRS)도 건설사들의 리스크를 더 높이고 있다. IFRS가 도입되면 매출 실적이 완공 시점에서 잡히기 때문에 국내 건설사가 아파트를 짓기 전에 선분양해 계약금을 받고 중도금과 잔금을 치러왔던 것과 공사 중인 아파트는 모두 부채나 재고자산으로 잡혀 부채 비율이 급증하게 된다.

부채비율 증가는 곧 해당 건설사의 신용등급 강등으로 이어지고 회사채 발행도 어려워져 자금난을 더욱 부추길 수 있다. 최근 용산역세권 개발사업, 상암DMC 랜드마크 빌딩, 판교 알파돔 등 대형 부동산 개발사업에 대해 건설사들이 프로젝트 파이낸싱(PF) 대출 지급보증을 거부하는 것도 IFRS의 후폭풍이다.

경제여건이 호전되면서 더이상 경기부양책이 필요없는 데다 출구전략마저 논의되고 있어 건설업계 입장에서 호재는 없는 상황이다. 결국 자금 사정이 넉넉하고 사업 포트폴리오가 다양하며 그룹의 지원을 받을 수 있는 건설사들을 제외하고 주택사업 비중이 높거나 미분양 사업장을 많이 보유하고 있는 건설사들의 퇴출이 우려되고 있다.

한국건설산업연구원 김민형 연구위원은 "건설사들은 사업장 매각과 강력한 구조조정을 통해 버티기에 들어간 지 오래됐다"며 "하지만 2008년 하반기 이후 2년 가까이 버텨오다 보니 부도 임계점에 달했다는 분위기가 곳곳에서 감지되고 있다"고 강조했다.[관련기사]☞

신평사도 건설사 우발채무 공시한다

李대통령 "건설사 도덕적 해이 용납 안돼"

중소건설사 유동성리스크, 7~9월 정점

[기자수첩]건설사들 "그때는 몰랐어요"

▶ (머니마켓) 성공투자의 지름길 '오늘의 추천주'

▶ (머니마켓) 오늘의 증권정보 '상승포착! 특징주!'

▶ (머니마켓) '한발 빠른 모바일 종목' 체험 접수 중

이군호기자 guno@

<저작권자 ⓒ '돈이 보이는 리얼타임 뉴스' 머니투데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Copyright © 머니투데이 & mt.co.kr,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