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부업에 기대는 '위기의 서민경제'

박병률 기자 2011. 5. 15. 21:15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신용·생계형' 대출 급증세.. 이용자 200만명 넘어 대책 시급

대부업체에서 돈을 빌린 사람이 200만명을 넘어섰다. 특히 사업자금보다는 생활비 등 명목으로 돈을 빌려가는 '생계형 대출' 비중과 상환기간 모두 늘고 있는 것으로 분석됐다.

대부업체는 은행권에서 돈을 빌리지 못한 저신용 서민들이 찾는 곳으로, 이 같은 수치는 서민경제가 점점 더 어려워지고 있음을 보여준다. 서민경제 붕괴를 대비한 대책 마련이 시급하다는 지적이 제기된다.

15일 금융위원회가 지난해 12월 말 기준으로 전국 7546개 등록 대부업체를 대상으로 실태 조사를 벌인 결과, 대부업체 이용 대출자는 220만7053명으로 지난해 6월 말 189만3535명에서 6개월 사이 31만3518명(16.6%)이 늘었다. 대출금액도 같은 기간 6조8158억원에 7497억원(11.0%) 증가한 7조5655억원에 달했다.

대출성향은 악화됐다. 신용대출이 6개월 전보다 15.8% 늘어난 반면 담보 대출은 8.2% 감소했다. 마땅하게 맡길 담보가 없다보니 신용대출로 수요가 몰렸다는 의미다. 대출금리는 신용대출의 경우 연 41.5%로 전기 대비 0.8%포인트 떨어지는 데 그쳤다. 담보대출 금리는 전기보다 0.3%포인트 오른 18.6%였다.

사업자금보다 긴급 생활자금 등 생계형 대출이 큰 폭으로 올랐다. 신규 대출자의 43.3%는 '생활비'로 쓸 돈을 마련하기 위해 대부업체를 찾았다. 생활비 명목 대출비중은 2008년 9월에는 16.1%에 불과했지만, 2009년 말 33.5%에 이어 지난해 6월에는 43.6%에 달했다. 이는 서민들이 먹고살기조차 힘겨워졌음을 방증한다.

사업자금 마련을 위해 대부업체를 찾는 수요는 줄었다. 2008년 9월 말 대부업체 신규이용자의 45.5%가 사업자금 마련 목적으로 돈을 빌렸지만 지난해 말에는 17.6%에 불과했다.

조성렬 동아대 교수는 "외식업 창업을 해도 장사가 잘 안되는데다 중소기업도 마땅한 투자처를 찾지 못한 것이 대부업체의 사업자금 수요를 줄인 것으로 보인다"고 설명했다.

이용자는 회사원(공무원포함)이 56.8%로 가장 많았고, 학생과 주부도 8.0%나 됐다. 자영업자는 20.9%였다.

긴급 자금을 빌렸지만 여유가 없다보니 상환 기간은 길어졌다. 대출을 3개월 미만으로 이용한 사람은 지난해 12월 말 현재 24.7%로 지난해 6월 말 29.7%보다 5.0%포인트가 줄었다. 2009년 3월 말 '3개월 미만 대부업체 이용자 비율'은 46.0%에 달했다. 반면 1년 이상 이용자는 같은 기간 32.7%에서 39.3%로 확대됐다. 2009년 3월 말(25.1%)보다는 14.2%포인트나 늘었다.

대부업체 이용자가 많아진 것에 대해 시중은행들이 저신용자 대출을 줄이면서 나타난 '풍선효과'라는 지적도 나온다. 금융위에 따르면 2010년 12월 말 현재 7∼10등급 저신용자에 대한 금융권 대출총액은 2009년 말보다 11조7000억원 감소했다. 금융위기로 건전성 확보에 열을 올린 은행들이 담보력이 취약한 저신용자에 대한 대출을 줄였기 때문이다. 이 수요가 대부업체로 몰려갔다는 얘기다.

< 박병률 기자 mypark@kyunghyang.com >

경향신문 '오늘의 핫뉴스'

▶ '다시 뽑고싶은 대통령' 2위 노무현…꼴찌는?

▶ 여경 매달고 250m 질주한 퀵서비스맨

▶ "日, 국제공인 지도 통해 대마도 조선땅 인정"

▶ 명동 美 관광객 '묻지마 테러' 범인, 알고보니…

▶ 아사다 마오, 열애… 상대는

▶ ESPN '추신수 망신얼굴' 공개…술 덜깨 초췌

공식 SNS 계정 [경향 트위터][미투데이][페이스북][세상과 경향의 소통 Khross]- ⓒ 경향신문 & 경향닷컴(www.khan.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경향닷컴은 한국온라인신문협회(www.kona.or.kr)의 디지털뉴스이용규칙에 따른 저작권을 행사합니다.〉

Copyright © 경향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