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한항공, 김포~광주 내달 운항 중단..원인은 KTX
[경향신문] 대한항공이 김포~광주 노선을 3월 말부터 운항 중단한다. 서해안고속도로와 KTX 호남선을 통한 이동이 늘어나면서 적자가 늘어난데 따른 것이다.
대한항공은 22일 하루 2회 운항하는 김포~광주 노선을 폐쇄하기 위해 국토교통부와 협의 중이라고 밝혔다. 대한항공 관계자는 “다른 지방 노선에 대한 운항 중단에 대해 검토하고 있는 것은 없다”고 전했다.
이번 광주행 노선 중단은 지난해 4월 개통된 호남KTX가 직접적인 원인이 됐다. KTX 운행 후 광주송정역 이용객은 하루 평균 1만2000명 수준으로 이전보다 3배가 넘게 늘었지만 김포행 비행기가 들어오는 광주공항은 4만명 수준이던 월 평균 승객이 2만5000명으로 크게 줄었다. 비행기 평균 탑승률도 50%에서 20% 크게 줄었다.
이에 따라 아시아나항공 역시 지난해 7월 김포~광주 노선 운항을 하루 5회에서 3회로 감편했다. 아시아나 관계자는 “아직 해당 노선의 폐쇄는 검토하고 있지 않다”면서도 “누적되는 적자가 커지는 상황이라 고민일 수밖에 없다” 말했다.
지방 항공편 이용객의 급감은 이동시간이 크게 차이 나지 않은 반면 요금은 기차가 더 저렴하기 때문이다.
서울을 출발해 광주송정역까지 KTX를 타면 4만6800원이 들고, 1시간44분이 걸린다. 반면 김포~광주 항공편의 경우 50분이 소요되지만 6만5000~8만3000원까지 나온다. 공항까지 갔다가 현지 이동수단으로 갈아타는 시간까지 감안하면 이동시간은 기차와 차이가 별로 없다.
이 같은 이유로 2007년 대한항공과 아시아나항공이 김포~대구 노선을 폐지했고 2014년 김포~포항 노선도 문을 닫았다.
최근 대형항공사보다 비용부담이 적은 저비용항공사(LCC)들이 지방 노선을 공략하고 있는 것도 원인이다. 현재 제주항공과 진에어, 에어부산와 이스타항공 등은 김포와 청주·김해 등에서 제주를 오가는 노선과 지방에서 중국과 동남아, 일본 등 국제선도 운행 중이다.
<김보미 기자 bomi83@kyunghyang.com>
Copyright © 경향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이복현 사의 표명…“상법 거부권, 윤 대통령 있었다면 행사 안 했을 것”
- [단독]시민 폭행한 ‘UDT 출신’ 보수 유튜버, 경찰은 “조치할 권한 없다” 뒷짐
- [스팟+터뷰] 박범계 “헌재 선고일 지정은 ‘이견 해소’…윤석열 복귀해도 국민이 끌어낸다”
- 주한미군 “한국 계엄령 안 따라”···개인 SNS 글에 “거짓” 일일이 지적
- 국힘 김미애, 장제원 겨냥 “누구든 돈과 권력으로 범죄 저질러선 안돼”
- ‘1호 헌법연구관’의 확신 “윤석열, 만장일치 파면…기각 땐 군사 독재 시대로”
- 탄핵 선고 앞두고…윤 대통령·신평·전한길 등 책 출간 “계엄으로 ‘진보귀족’에 저항”
- 장제원 사망에 여당 “마음 아파” “명예훼손 말라”…피해자 언급은 없어
- “붕괴 이전으로 돌아가요”…박해일 등 영화인 1025명 ‘윤석열 파면’ 성명
- 미, 한국시간 3일 오전 5시 상호관세 발표…백악관 “즉시 발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