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르스 격리자 303명 늘어 1667명..국가 음압병상 70% 활용
중동호흡기증후군(메르스) 환자 수가 35명까지 늘어나면서 전국의 국가지정 음압병상 70%를 메르스 환자들이 이용중인 것으로 나타났다. 메르스로 인한 격리자 수는 303명이 늘어 1667명에 달했다.
중앙메르스대책본부는 4일 정부서울청사에서 열린 정례브리핑에서 “메르스 환자가 이용할 수 있는 국가지정 음압병상 47개 중 33개가 이용되고 있다”고 밝혔다. 음압치료실은 병실 내 공기가 외부로 유출되지 않도록 하는 음압시설을 갖춘 병실이다.
메르스 환자는 감염 전파를 막기 위해 음압병상에서 치료 받아야 한다. 전국의 국가지정입원치료병원의 음압병상은 전국 17곳의 100여곳 이상이지만, 일부는 다인실이다.
|
서울대병원 응급실 앞에 마련된 메르스환자 격리 치료소 앞으로 마스크를 쓴 관계자들이 이야기하고 있다. 김창길 기자 cut@kyunghyang.com |
대책본부는 이어 환자 발생 병원을 공개하지 않겠다는 방침은 다시 확인했다. 대책본부 권준욱 총괄반장은 “의료기관을 위해 기관명 공개를 꺼리는 것이 아니다”라며 “의료기관을 이용하는 환자들의 불편이나 애로사항 발생을 우려해 더 효과적인 방법을 찾는 노력을 하고 있다”고 밝혔다.
중앙메르스대책본부 집계에 따르면 이날까지 국내에서는 35명이 메르스 확진 판정을 받았다. 격리자는 1667명으로 전날 1364명보다 303명이 늘었다. 자가격리자가 1503명, 기관에 격리된 감염의심자가 164명이다.
격리 기간에 증상이 발현되지 않아 격리가 해제된 인원은 전날보다 10명이 증가한 62명으로 집계됐다. 대책본부는 공군 간부, 특정 지역 80대 사망자 등의 메르스 감염 여부는 현재 확인 검사를 진행 중이라고 설명했다.
아울러 국내에서 메르스 바이러스가 변이했는지 이르면 5일 결과를 받아볼 수 있을 것이라고 덧붙였다. 대책본부는 이어 대부분의 감염이 발생한 ⓑ병원에 대해서는 환경 검체를 채취해 연구하는 등 다양한 분야의 방역 활동을 종합해서 효과를 높이는 ‘특단의 대책’도 강구하고 있다고 설명했다.
<비즈앤라이프팀>
Copyright © 경향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단독]서울 마포구서 땅 꺼짐 발생…경찰 애오개역 인근 4~5차로 통제
- [속보] 미국, 상호관세 부과 대상서 스마트폰·컴퓨터 등도 제외···블룸버그 “삼성도 혜택”
- “모든 권력은 국민으로부터 나온다”···윤석열 파면으로 본 ‘대통령의 자격’
- 링거 맞고, 잠 쪼개고, 코피 쏟고…광장 최전선의 사람들
- “한국 경찰인데요, 출입국관리법 위반하셨습니다” 일본까지 전화해서 보이스피싱
- 윤석열 전 대통령과 포옹한 ‘과잠’ 대학생···“대통령실 요청받아”
- ‘위증 교사’ 혐의 재판받던 전북교육감 처남 숨진 채 발견
- 오세훈, 대선 불출마 선언···“기승전 ‘反이재명’ 넘어 탈바꿈하기를”
- [단독] [대선 인사이드] ‘모병제’ 여론조사 돌린 민주당…이재명 공약 포함될까
- [경제뭔데]엔화 850원 ‘핫딜’은 이제 끝?…트럼프가 미운 일본여행족