올 1인당 소득 2만4000弗..양극화는 심화 '착시현상'

2013. 11. 25. 11:03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작년보다 5.9%증가 사상최대 전망

올해 우리나라 국민의 1인당 소득이 사상 최대치인 2만4000달러를 돌파할 전망이다. 올들어 원화 가치가 급상승했고, 저출산으로 인구가 많이 늘어나지 않은 영향이 컸다.

해마다 악화되고 있는 분배 지표를 고려하면 경제성장의 과실을 일부 상류층만 누리고 서민ㆍ중산층으로 확산되지 못하는 문제점도 더욱 불거지고 있다.

25일 금융권에 따르면 올해 우리나라 국민총소득(GNI) 추계치를 인구로 나눈 1인당 국민소득은 2만4044달러로 지난해(2만2700달러ㆍ세계 49위)보다 5.9% 증가할 것으로 예상된다. 이는 올해 국내총생산(GDP) 성장률을 2.8%로, 원/달러 환율은 1095원, 인구는 5022만명으로 추산해 나온 수치다.

1인당 GNI는 2007년(2만1632달러)에 처음으로 2만달러를 돌파했지만 2008년 금융위기로 인해 2만달러 아래로 곤두박질쳤다. 이후 2010년(2만562달러) 다시 2만달러대로 올라섰고 2011년 2만2451달러, 지난해에는 2만2700달러를 기록했다. 지난 7년 동안 2만달러 수준에 머물러 있는 셈이다. 일본은 2만달러(1987년)에서 3만달러(1992년), 3만달러에서 4만달러(1995년)로 도약하는 데 각각 5년, 3년이 걸렸다.

올해 1인당 GNI가 비교적 큰 폭으로 늘어나는 것은 경기회복이 어느 정도 영향을 미쳤지만 원화 가치가 절상된 게 가장 컸다. 2011년 달러당 평균 1108원이었던 환율은 지난해 1127원으로 올라갔다가 올해는 평균 1090원대가 될 전망이다. 인구(5022만명)가 지난해보다 0.43% 늘어나는 데 그친 것도 1인당 소득 증가에 도움이 됐다.

국내 주요 연구기관들은 내년에도 원화 환율이 절상돼 1인당 소득 증가에 긍정적인 영향을 줄 것으로 예상하고 있다. LG경제연구원은 내년 1인당 GNI가 2만6000달러에 이를 것으로 내다봤다.

1인당 국민소득이 늘어난다고 해서 모든 국민이 동일한 소득증가 과실을 누리는 것은 아니다. 1인당 국민소득은 어디까지나 평균 개념이다. 통계청에 따르면 소득 양극화 지표인 '소득 5분위 배율'(5분위 가처분소득을 1분위 소득으로 나눈 비율)을 보면 올해 9월 말 현재 고소득층(5분위 계층)의 가처분소득이 저소득층(1분위 계층)의 5.05배로, 지난해(4.98배)보다 더 커졌다.

전문가들은 1인당 국민소득 상승이 '착시'에 그치지 않고 실제 생활 수준 향상으로 이어지도록 하는 데 정부 경제정책의 초점을 맞춰야 한다고 지적한다.

신창훈 기자/chunsim@heraldcorp.com- 헤럴드 생생뉴스 Copyrights ⓒ 헤럴드경제 & heraldbiz.com,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

[헤럴드경제 BEST 클릭]

엄태웅 딸 폭풍성장 "벌써 이만큼 컸어?"…똘망똘망'따님 사생활 사진 있습니다' 한효주 사진 몰래 빼돌려 협박한 매니저등 기소한예슬 테디 열애 인정, "거짓말 잘 못해서…" 공식입장김사랑 JC지은, "7년 연애 마침표"…성격차이장주미 소위, 김수로마저 제압한 카리스마…어땠길래?김선영 "여배우 등에 용문신이?…파격 넘어 충격"크레용팝 의상논란, 또 日 모모이로클로버Z 판박이? 비교해보니…안성기 아들, 훈남 외모에 남다른 재능까지…'눈길'[취재x파일]빅데이터로 풀어본 강남권 주상복합 분양대전강민경 강경대응, 성접대 합성사진 유포자 잡고보니…이유가?

Copyright © 헤럴드경제.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