韓 '임금없는 성장' 최악..실질임금↓ 노동생산성↑
"주요국 중 노동생산성 증가는 최고, 실질임금 증가는 바닥"
(서울=연합뉴스) 고유선 기자 = 실질 임금은 줄고 노동생산성은 늘어나는 '임금없는 성장'이 주요국 중 한국에서 가장 뚜렷하게 나타났다는 분석이 나왔다.
박종규 한국금융연구원 연구위원은 27일 '임금없는 성장의 국제 비교' 보고서에서 한국은 실질 임금과 실질 노동생산성이 서로 비슷하게 움직이다가 2008년 금융위기를 계기로 격차가 심하게 벌어지기 시작했다고 지적했다.
명목 임금을 소비자물가 상승률로 조정한 한국의 실질 임금(사회보장기여금 포함)은 2007년∼2012년 사이에 2.3% 줄었다. 1997년∼2002년과 2002년∼2007년에는 실질 임금이 각각 19.4%와 17.6% 증가했다.
경제협력개발기구(OECD) 회원국 중 자료를 얻을 수 있는 28개 국가를 보면 2012년(또는 2011년) 실질 임금이 2007년과 비교해 한국보다 더 많이 하락한 나라는 11개 국가였다.
그러나 재정위기를 겪은 PIIGS(포르투갈, 이탈리아, 아일랜드, 그리스, 스페인) 국가와 1인당 GDP가 세계 40위권 밖인 나라 등 10개국을 빼고 비교하면 실질 임금 하락 폭이 한국보다 더 큰 국가는 18개국 중 영국, 일본, 이스라엘 등 3개국뿐이다.
이에 비해 실질 국내총생산(GDP)을 근로자 수로 나눈 한국의 실질 노동생산성은 2007∼2012년 9.8% 늘었다.
이 기간 한국의 실질 노동생산성은 비교 대상 18개국 중 가장 빠르게 상승했다.
결국 한국은 비교 대상 주요국 가운데 노동생산성은 가장 빠르게 늘고 임금 증가 속도는 최하위권에 속해 두 지표의 격차가 가장 크게 벌어졌다.
박 연구위원은 "극심한 경제위기를 겪은 국가를 빼면 한국의 '임금 없는 성장'이 가장 심각하다"면서 "실질 임금이 노동생산성에 맞춰 늘어나도록 유도하는 정책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cindy@yna.co.kr
- ☞ 아베 "軍위안부 가슴아파…日생각·방침 설명할 것"
- ☞ 朴대통령, 정총리 사의 참사수습후 시간차 수리
- ☞ "세,세,세…" 얼마나 급했으면…승객들 112에도 전화
- ☞ "원망스러운 시간"…세월호 수색 큰 진전 없어
- ☞ "유병언, 사진판매로 500억 비자금조성 의혹"
▶이슈에 투표하고 토론하기 '궁금한배틀Y
<저작권자(c) 연합뉴스, 무단 전재-재배포 금지>
Copyright © 연합뉴스. 무단전재 -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 때아닌 눈인데 색깔도 낯설다?…수도권서 '검은 눈' 목격담 | 연합뉴스
- [샷!] "불 번지는데 '17년지기' 혼자 둬 너무 불안" | 연합뉴스
- [르포] 최초 발화지 다시 가보니…버려진 라이터·그을린 흔적 | 연합뉴스
- "사랑해요" 사고 전날이 마지막…헬기 순직 조종사 아내 오열 | 연합뉴스
- "내 딸 때렸어?" 아동 세워놓고 추궁한 30대…학대죄 될까 | 연합뉴스
- '종교 전도 받아 집 드나든 건데…' 스토커 몰린 60대 무죄 | 연합뉴스
- 배터리 불붙을라…기내 휴대폰 분실에 비행기 돌린 佛항공사 | 연합뉴스
- 아시아나 필리핀발 인천행, 기장이 여권 잃어버려 15시간 지연 | 연합뉴스
- 김동연, 文소환 통보에 "기가 찰 노릇…검찰, 누구에 충성하나" | 연합뉴스
- "산불감시원 퇴근 시간 다 알아"…대형산불에도 불법 소각 여전 | 연합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