곡물가 급등, 한국 물가 상승압력 클 듯
한국은행이 국제곡물 가격 급등으로 국내 물가가 다른 나라보다 더 크게 상승 압력을 받을 것이라고 공식 경고하고 나섰다.
한은은 3일 발표한 '국제곡물가격의 급등 요인 및 평가'보고서에서 "미국 등 주요 곡물 생산국에 닥친 가뭄이 해소되더라도 가격 하락폭은 제한적일 것"이라며 "가뭄이 지속하면 곡물가는 추가로 상승할 것"이라고 내다봤다.
7월말 현재 소맥 선물가격은 부셸(27.2㎏)당 8.88달러로 6월말보다 20.2%나 급등했다. 옥수수 선물가도 부셸(25.4㎏)당 8.06달러로 같은 기간 19.9% 올랐다. 대두 역시 부셸당(27.2㎏) 13.8% 오른 17.21달러를 나타냈다.
이처럼 국제 곡물가격이 급등한 이유는 단기적으로는 주요 생산국의 가뭄과 투기자금 의 유입 때문인 것으로 한은은 분석했다.
한은 관계자는 "미국에서 55년 만에 최악의 가뭄이 발생하는 등 올해 주요 곡물 생산국의 극심한 가뭄으로 작황이 악화하고 있다"며 "옥수수 선물시장에서 투기자금의 순매수포지션이 6월 초에서 7월 중순 사이 240% 늘어날 점도 곡물가 급등의 원인"이라고 설명했다.
한은은 또 곡물의 수급 여건이 중장기적으로도 개선되지 않아 우리나라 식품가격이 다른 나라보다 더 오를 수 있다고 내다봤다. 인구가 많은 중국과 인도의 곡물 소비가 빠른 증가세를 보이는 반면 경작 면적은 계속 줄어들고 있어서 가뭄이 해소돼도 곡물 가격의 하락폭은 제한적일 것이라는 진단이다. 한은은 특히 "최근의 주요 곡물가격 급등이 시차를 두고 (한국에) 물가상승 압력으로 작용할 것"이라며 "우리나라처럼 곡물 수입량이 상대적으로 큰 국가는 식품가격이 여타 국가보다 더 크게 오를 가능성이 있다"고 강조했다.
김성수기자 sskim@sed.co.kr
[ⓒ 인터넷한국일보(www.hankooki.com),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Copyright © 서울경제.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산불사태' 역대 최대 피해 규모…축구장 6만 7000개 크기 잿더미
- 與는 이재명, 野는 윤석열…서로 “판결 빨리하라”
- 테슬라 31점 VS 웨이모 87점…머스크 ‘자율주행 낙제점’ 왜 [김기혁의 테슬라월드]
- ‘31조 투자’ 현대차에 찬물 끼얹은 트럼프…車 관세 우려에 주가 급락 [마켓시그널]
- 한덕수 또 탄핵하겠다는 조국혁신당 “월요일까지 마은혁 임명하라”
- 미얀마 군정 '강진 사망자 1644명으로 늘어'
- BTS 또 일냈다…美매체 선정 '최고 K팝·랩 협업곡' 1위
- 권성동 '이재명·김어준·민주 초선 72명 내란죄 고발'
- '트럼프 관세 전쟁' 속 만난 한중 상무장관…'공급망 안정화 협력'
- 청년이 비정규직 원한다는 ‘거짓말’ [양종곤의 노동 뒤집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