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韓·인도 CEPA 공식체결]개방규모 역대 최고..인구 12억 거대시장 활짝 열리다

2009. 8. 6. 11:52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車 부품ㆍ기계ㆍ철강 등

단계적 관세인하ㆍ철폐

가격경쟁력 확보 청신호

IT전문인재 개별입국 허용국내 인력난 해소 도움 기대

우리나라와 인도가 7일 '포괄적 경제동반자협정(CEPA)'에 정식으로 서명하면 12억 인구를 거느린 거대 시장 인도의 문이 우리 앞에 활짝 열리게 된다. 교역규모로 볼 때 한?미 자유무역협정(FTA)이나 한?유럽연합(EU) FTA에 비해 파괴력이 떨어진다는 지적이 있지만 세계 경제를 이끄는 하나의 축인 브릭스(BRICs) 국가와 맺는 첫 협정이라는 점에서 그 의미가 작지 않다. 아울러 협정 발효 후 이뤄질 수입관세 인하로 직접 혜택을 누리게 될 자동차부품, 철강, 석유제품, 기계 등은 물론 전문 인력 조달을 희망하는 IT 부문에도 긍정적인 영향을 줄 것이 확실시되고 있다. 이에 따라 국내 산업계는 한?인도 CEPA의 긍정적인 효과를 극대화하기 위한 전략 마련에 착수했다.

▶국내 산업계 '긍정적 효과' 기대

=한ㆍ인도 CEPA가 발효되면 국내 산업계 전반에 큰 도움을 줄 것이 확실하다. 이 중 최대 수혜가 예상되는 부문은 자동차 부품이다. 자동차 부품은 한국이 인도로 수출하는 품목 가운데 가장 큰 비중을 차지하고 있는 것은 물론 인도 완성차업계 시장점유율 2위를 달리고 있는 현대차인도법인(HMI)의 내수 및 수출경쟁력에 직접적인 영향을 주고 있기 때문이다.

지난해 인도 시장에서 48만9000대의 완성차를 생산한 HMI는 주력인 소형차 부품의 10% 정도와 중형차 부품의 상당수를 한국에서 수입하고 있는데, 이 과정에서 10~12.5%의 수입 관세를 물고 있다. 반면 경쟁업체인 일본의 혼다와 도요타는 인도와 FTA를 체결한 태국에서 무관세로 부품을 들여와 상대적으로 혜택을 누리고 있다. 따라서 한?인도 CEPA가 발효되면 HMI의 가격경쟁력이 확보되는 것은 물론 중국이나 일본에 앞서 인도와 협정을 체결하게 됨으로써 선점 효과를 거둘 수 있을 것으로 예상된다. 현대차 관계자는 "인도 시장은 인건비는 저렴한 반면 원자재 가격이 매우 비싼 특징을 지니고 있다"면서 "자동차 부품에 붙는 관세율이 낮아지면 가격경쟁력을 갖출 수 있어 인도 내수시장은 물론 수출에도 큰 도움이 될 것"이라고 말했다.

전자업계도 이번 CEPA 타결이 새로운 시장으로 급부상하고 있는 인도 공략에 호재가 될 것으로 보인다. 인도에서 가전시장 1위를 차지하고 있는 LG전자 관계자는 "이미 현지 생산체계가 구축돼 있지만 국내에서 현지로 조달하는 일부 부품의 관세 인하로 가격경쟁력이 높아질 전망"이라며 "장기적으로는 회사 브랜드 인지도 상승 효과도 기대된다"고 밝혔다.

이 밖에 현재 5%의 관세가 붙는 철강을 비롯해 건설장비(관세율 7.5%), 산업용 밸브(7%), CEPA 발효 즉시 철폐되는 제약기계(7.5%), 합성수지 및 합성고무(5~12%), 기계(10~12.5%), 정밀화학(12.5%) 등도 도움을 얻을 것으로 예상된다.

▶IT 부문 인력 조달에도 기여

=한ㆍ인도 CEPA가 체결되면 국내 IT 시장에도 변화가 예상된다. 이미 미국 등에서 실력을 인정받은 인도의 IT 인력의 국내 취업이 보다 자유로워지면서 인력난에 시달리는 IT 업계에 숨통이 트일 전망이다.

한?인도 CEPA는 양국의 전문인력이 개별적으로 상대방 국가 기업에 취업할 수 있도록 제도를 개선하는 내용을 담고 있다. 지금까지 본국 법인에 소속된 인력에게만 취업비자가 허용됐던 것에서 한 단계 발전한 것이다. 무역협회 관계자는 "인도는 상대적으로 값싼 IT 전문인력이 풍부해 그동안 높은 고정비에 시달렸던 우리 IT 업체의 인력난 해소에 도움을 줄 것"이라고 전망했다. 최근 IT벤처기업연합회 조사에 따르면 2002년부터 2007년까지 입국한 IT 관련 전문인력 중 46%가 인도 출신으로 집계됐다. 또 IT 인력 선호도 조사에서도 34%의 기업이 인도 출신 IT 인력에 대해 우호적인 반응을 보였다. SW업계의 한 관계자는 "인력 진출이 활발한 인도와 달리 우리나라는 아직 대부분의 인력을 국내에서 조달하고 있다"며 "이번 CEPA 타결로 저임금 인력의 대규모 유입보다는 우리가 상대적으로 열악한 일부 고급 SW 분야에서 인도 인력 채용이 활발해질 것"이라고 전망했다.

산업부/indus@heraldm.com

[인기기사]

'팝의 여제' 마돈나가 돌아온다

캐나다 드라마 '캐드' 열풍? 미드에 도전장

섹시듀오 허니쉬 뮤비, 얼마나 야하길래…궁금해?

탤런트 이시영, 디지털 싱글 앨범 발매

도지원, KBS주말극 '수상한 삼형제' 주연으로 복귀.

- 대중종합경제지 Copyrights ⓒ 헤럴드경제 & heraldbiz.com,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

Copyright © 헤럴드경제.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