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세계 편의점시장 진출 놓고 논란
"시장 포화상태" VS "혁신적 모델있으면 승산"
신세계가 편의점 위드미를 인수해 편의점 시장에 본격 진출한 것을 놓고 업계의 평가가 엇갈리고 있다.
편의점 시장이 포화인 만큼 신세계 진출의 영향은 제한적일 것이라는 의견과 기존 가격협상력(bargaining power)을 내세워 혁신적 모델을 제시한다면 이른 시간 내에 안착할 것이라는 분석이 팽팽히 맞서고 있는 것.
5일 유통업계에 따르면 신세계그룹은 지난해 12월 열린 이마트 이사회에서 편의점 위드미를 운영하는 위드미에프에스를 인수하기로 의결했다. 위드미 대표이사에는 조두일 신세계 경영전략실신사업 태스크포스 팀장이 내정됐다.
위드미는 서울 수도권 부산에 89개 가맹점을 두고 있는 기업이다. 본사와 가맹점이 매출액을 나눠 갖는 CU, GS25 등 대기업 계열 편의점과 달리 로열티 없이 본사가 가맹점에 물품만 공급하는 상품공급형 편의점으로 운영되고 있다.
신세계의 편의점 진출설은 지난해 초부터 나왔다.
지난해 1월 이마트가 위드미에 상품 공급을 한다는 얘기가 나왔지만 신세계 측에선 '단순 상품공급 검토 중'이라며 확대 해석을 경계했다. 하지만 불과 6개월 뒤 서울 회현동에 위치한 신세계 메사빌딩에 위드미 본사를 이전시켜 태스크포스(TF)를 꾸렸다.
최근엔 신세계 사이먼 부산 프리미엄 아울렛 1층과 신세계가 인수한 센트럴시티 건물에 위드미 편의점 2개 점포를 입점시켜 사업성을 검토해 왔었다.
이에 대해 편의점 업계 한 관계자는 "편의점 시장이 이미 포화상태인 데다 하루 세 번 배송해야 하는 편의점 물류시스템 특성상 빠른 시장확대는 어려울 수도 있다"고 전망했다. 하지만 이마트를 등에 업고 있는 만큼 신세계의 편의점 진출은 파괴력이 클 것이라는 의견도 적지 않다.
또 다른 한 관계자는 "신세계가 기존 편의점과 다른 혁신적인 모델을 제시하고 대신 정부 규제 안에서 경쟁한다면 시장에 빠르게 안착할 수 있을 것"이라며 "우선 상품공급형 편의점으로 운영되는 것을 감안하면 일반 동네 슈퍼들도 편의점으로 전환이 가능한 만큼 예의주시해야 할 것"이라고 밝혔다.
이보미 기자
※ 저작권자 ⓒ 파이낸셜뉴스. 무단 전재-재배포 금지
Copyright © 파이낸셜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성관계 그립다" 강간 피해女, 성폭행男에게..
- "손질 귀찮다" 세탁기에 총 돌린 말년병장 기소
- 13살 아들이 무서워 '도끼 살해'한 아빠
- 女모델, 엉덩이 라인 드러낸 과감 노출 '숨막히네'
- 울산시 정수기 철거 왜.."공무원들 수돗물 마신다"
- "속옷도 없이"…클라라, 마사지 중 드러난 뒤태 '아슬아슬'
- 前축구선수 강지용 사망…'이혼숙려캠프' 출연 두달만
- "사업가 3명 동시에 만났다"..신정환, 女 연예인 성접대 폭로 '충격'
- '김동성 부인' 인민정 "집에 압류 딱지 붙기도…건설현장서 열심히 일해"
- 김종인 "尹과 절연해야…한동훈만이 민주당 이길 후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