남양유업 '베일 속 경영'.. 장교출신 많아 '상명하복 문화' 팽배
남양유업은 업계에서 철저히 베일에 가려진 회사로 통한다. 개별 기업 사정을 현미경 들여다보듯 꿰뚫고 있는 증시 애널리스트들마저도 남양유업에 대해서는 고개를 절레절레 흔들 정도다. 남양유업의 운영이 그만큼 폐쇄적이라는 뜻이다.
남양유업은 증권사 애널리스트 등을 비롯한 외부 전문가들을 초청하는 기업탐방 행사를 하지 않는 업체로도 유명하다. 상장사라면 정기적으로 증권사 애널리스트 등을 회사로 초대해 기업 현황과 최고경영자의 비전 등을 설명한다. 대우증권의 한 애널리스트는 "1978년 주식시장에 상장은 됐지만 증시에 전혀 관심이 없는 회사"라면서 "기업 내부 사정에 관심을 갖고 물어봐도 절대 얘기를 해주지 않는다"고 말했다.
회사가 주식시장에 관심이 없다 보니 주식투자를 하는 사람들의 최대 관심사 가운데 하나인 배당도 거의 하지 않는다. 남양유업이 금융감독원 전자공시를 통해 공개한 최근 3년간 배당 현황을 보면 주주 이익은 철저히 무시하는 회사임이 나타난다.
남양유업의 2010년 현금배당수익률(주가 대비 현금으로 배당받은 수익의 비율)은 0.2%다. 2011년은 0.2%, 2012년은 오히려 0.1%로 절반으로 줄었다. 배당 시점의 종가가 100만원이라고 가정할 때 현금 1000원을 배당한 셈이다. 코스피 상장기업의 현금배당수익률 평균이 2%대인 점을 감안하면 바닥 수준인 것이다.
증권사의 한 애널리스트는 "기업이 배당을 하지 않는다는 것은 회사가 소액주주의 권리는 안중에 두지 않는다는 뜻"이라면서 "현금을 많이 쌓아두는 남양유업 같은 회사들일수록 배당에 관심을 두지 않는다"고 말했다.
오랜 기간 회사 내에 만연한 획일적인 '군대문화'가 일선 영업사원의 막말 파문을 낳았다는 비판도 나오고 있다.
남양유업대리점피해자협의회의 한 관계자는 "남양유업은 주요 업무인 대리점 관리를 상명하복의 관계로 보는 회사로 소문나 있고, 이 때문에 일찍부터 군대문화가 뿌리를 내린 회사"라며 "직원도 장교 출신을 많이 뽑는 걸로 알고 있으며, 영업사원들의 폭언도 이같이 잘못된 군대문화에서 비롯됐다고 지적하는 사람들이 많다"고 말했다.
또 다른 협의회 관계자는 "올해 초 무슨 자리에선가 홍원식 회장이 어떻게 '일일이 법을 다 지켜가면서 회사 경영을 할 수 있느냐'는 말을 했다고 들었다"면서 "최고경영자가 그런 생각을 갖고 있는데 아랫사람들이 어떻게 정도를 지키며 영업을 하겠느냐"고 말했다.
<최병태 선임기자 cbtae@kyunghyang.com>
[경향블로그]
[유인경 기자의 수다의 힘] 을로 산다는 것
[박순봉의 철근 콘크리트] 어느 청년 편의점주의 죽음
[매거진X] 식당의 감정노동자
[노랑가방의 그림이야기] 무서운 인터넷
[김선영의 문화비평]"제 이름은 미스김입니다"
[김민아의 소심한 상상] 미스김과 정과장
Copyright © 경향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검찰, 남양유업 압수수색
- 남양유업 횡포에 분노한 시민들 '불매운동' 확산
- “가문에선 출마 말렸는데…” 탄핵 선고 하루 전, 파평 윤씨 집성촌은
- [단독] 재작년 단 400만원…나경원 일가 중학교가 ‘찔끔’ 낸 이것
- 전한길·전광훈 선 못 그으면서···‘김어준 지령설’ 펴는 국민의힘
- “윤석열 석방 화나서 감옥살이 못하겠다” ‘돈봉투 무죄’ 송영길 항소심 시작
- “빨간불 뜨면 해고, 마치 ‘오징어 게임’ 같았다”…만우절 농담 같았던 ‘마지막 출근’
- “윤 정부는 다르다” 장담하더니···3년간 대통령도, 여당 대표도 4·3 추념식 불참
- 도이치 주가조작 유죄 확정…검찰, ‘김건희 불기소’ 뒤집고 재수사할까
- [속보]‘선거법 위반’ 홍남표 창원시장 당선무효형 확정···홍 “사실과 달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