폭등 아파트값, 하락세 계속

2012. 7. 17. 14:37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최근 수도권을 중심으로 집값 하락 폭이 커지면서 바닥론이 거론되고 있지만 2006년 이후 43% 올랐던 집값이 고작 7% 빠진 수준에 불과한 것으로 나타났다.

17일 부동산정보업체 부동산써브가 수도권 아파트 345만4630가구를 대상으로 2006년부터 현재까지 3.3㎡당 매매가를 분석한 결과 2006년부터 2008년 9월 최고점까지 변동률은 43%를 기록한 반면 최고점 이후(2008년 9월) 현재까지의 변동률은 -7%를 기록한 것으로 조사됐다.

이는 집값이 오를 때는 단기간에 폭발적으로 오르지만 올랐던 집값이 내리기는 상대적으로 어려운 것을 의미한다.

수도권(서울.경기.인천)의 경우 2006년 3.3㎡당 매매가격이 882만원에서 최고가격인 1260만원을 기록했던 2008년 9월까지 43% 올랐다. 최고점에서 현재(1173만원)까지는 7% 내렸다.

강남3구는 2283만원이었던 매매가격이 2007년 1월 3001만원으로 고점을 찍어 31% 올랐다. 이후 현재는 2714만원으로 10% 떨어졌다.

2008년 이명박 정부의 뉴타운 정책에 힘입어 '노.도.강'이라 불리는 강북3구는 2006년 662만원에서 2008년 9월 1245만원으로 올라 무려 88%나 치솟았다. 최고점을 기록한 뒤 현재(1127만원)까지 10% 하락했다.

2006년 5월 버블세븐으로 지정됐던 강남.서초.송파.목동.분당.평촌.용인은 1657만원에서 2007년 2월 2168만원으로 강남3구와 마찬가지로 31% 올랐다. 고점 이후 현재는 1899만원으로 2000만원 선이 붕괴되며 시세가 12% 내렸다.

2008년 미국발 금융위기 이전 폭등했던 아파트값은 최고치를 기록한 뒤 지속적으로 하락세를 보이고 있지만 그 기울기는 완만한 모습이다. 이는 집값이 오를 때는 단기간에 빠른 속도로 오르지만 내릴 때는 장기간 느린 속도로 내려 올랐던 가격이 빠지는 데 많은 시간이 소요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부동산써브 박정욱 연구원은 "과거 폭등 전의 아파트값 수준과 비교해 봤을 때 앞으로의 추가 가격 하락 여지가 있다"면서 "유로존 금융위기가 여전하고 집값 상승 기대감도 저하됐기 때문에 수도권을 중심으로 집값 하향화 추세는 당분간 지속될 것"이라고 전망했다.

aber@fnnews.com 박지영 기자

▶ 남녀 책상 비교, '결국 누가 더 깔끔한 건지 판별 불가'

▶ 100세 이상 장수하려면 가을에 태어나야 한다?

▶ 위안부 영문표현 '성노예' 변경 추진

▶ '2012 fn미술대전' 10명의 큐레이터, 10개의 미래를 기획하다

▶ '다이어트 먹으면서 빼자' 최근 여성들 사이에 인기

파이낸셜뉴스. 무단 전재-재배포 금지

Copyright © 파이낸셜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