월수 200만원 미만 근로자 56.1%
<아이뉴스24>
[정수남기자] 지난해 우리나라가 글로벌 금융위기 이후 3년만에 국민소득 2만불 시대에 재진입했지만 아직도 저임금에 허덕이는 근로자가 많은 것으로 조사됐다.
통계청은 20일 '지역별 고용조사 결과'를 통해 작년 기준 임금근로자 1천670만9천명 중 월급이 100만~200만원 미만인 근로자가 669만6천명으로 가장 높은 40.1%의 비중을 차지했다고 밝혔다.
다음으로 200만~300만원 23.0%(383만9천명), 100만원 미만 16.0%(267만3천명), 300만~400만원 11.3%(188만2천명), 400만~500만원 5.0%(83만7천명), 500만원 이상 4.7%(78만1천명) 순이었다.
초등졸 이하 임금근로자 113만7천명 중에서는 100만원 이하가 59만5천명으로 52.3%로 나타났다. 100만~200만원이 43만1천명으로 37.9%를 차지하는 등 초졸 이하 근로자의 90.2%가 월 급여 200만원 미만인 것으로 파악됐다.
또 중졸·고졸·전문대졸에서도 월급이 100만~200만원인 근로자의 비중이 제일 높았다.
중졸 132만6천명 중에서는 월급 100만~200만원을 받는 근로자(69만5천명,52.4%)가 가장 많았고, 다음으로 100만원 미만 근로자가 42만4천명(32.0%)으로 그 뒤를 이었다.
고졸 근로자 657만1천명 중 100만~200만원 받는 근로자(319만명,48.5%)가 역시 1위를 차지했으며, 다음으로 200만~300만원 근로자(137만7천명, 21.0%), 100만원 미만(123만8천명,18.8%) 순으로 집계됐다.
전문대졸 235만8천명의 경우 100만~200만원(114만3천명, 48.5%), 200만~300만원(67만2천명, 28.5%), 300만~400만원(24만3천명, 10.3%), 100만원 미만(18만1천명, 7.7%) 순이었다.
대졸이상 531만9천명 중의 근로자 가운데에서는 200만~300만원을 받는 사람(154만7천명,29.1%)이 가장 많았고, 다음으로 100만~200만원(123만8천명,23.3%), 300~400만원(109만1천명,20.5%) 순으로 파악됐다. 100만원 미만은 23만5천명으로 4.4%으로 나타났다.
/정수남기자 perec@inews24.com
[관련기사]▶ 지난해 저소득층 엥겔계수 5년래 최고…20.5%▶ 3년만에 국민소득 2만달러 재진입▶ 최중경 "국민소득 4만불 이루려면 동반성장 필수"▶ 고소득 전문직 세무검증 의무화☞ IT는 아이뉴스24연예ㆍ스포츠는 조이뉴스24☞ 새로운 시각 즐거운 게임, 아이뉴스24 게임☞ 메일로 보는 뉴스 클리핑, 아이뉴스24 뉴스레터(Copyright ⓒ 아이뉴스24.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Copyright © 아이뉴스24.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주말엔 운동] "걸어야 좋다는데⋯'몇 보' 이상 걸어야 암 위험 줄어들까?"
- 월요일 공매도 재개 앞두고 대차잔고 급증…삼성전자 6.8조 쌓여
- 프로야구 NC-LG 창원 경기 중 구조물 추락…관중 3명 병원 이송
- '옴니보어 소비자'를 아시나요
- 1165회 로또 1등 13명…당첨금 각 21억9248만원
- "기부 취소할게요"…국가재난에도 애도보다 진영 싸움
- "프로야구 굿즈 사러 편의점 갑니다"
- 美 학생비자 심사 강화…"SNS 뒤져 테러옹호하면 발급 거부"
- 수도권서 '검은 눈' 목격담 솔솔…대형 산불 영향일까
- "내 딸 때렸어?" 11세에 학폭 추궁한 학부모…학대죄 될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