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프리미엄 리포트]2월 청년실업률 11.1%.. 15년만에 최고
[동아일보]
최근 통계청이 발표한 올해 3월 청년실업률은 10.7%. 외환위기 이후 15년 만에 최고치였던 2월(11.1%)에 이어 두 달 연속 두 자릿수대였다. 하지만 이마저도 ‘1시간이라도 일한 사람’이나 ‘취업 포기자’ 등을 반영하지 않고 있어 최대 20%에 육박하는 ‘체감(體感) 실업률’과는 동떨어져 있다.
체감 실업률은 일반 실업률 통계에는 반영되지 않는 ‘시간 관련 추가취업 가능자’나 ‘잠재경제활동인구’ 등을 포함했을 때 나타나는 수치다. 시간 관련 추가취업 가능자는 주당 36시간 미만으로 근무하면서 추가취업을 희망하는 사람을 일컫는다. 2014년 8월 기준 청년실업률은 8%지만 시간 관련 추가취업 가능자를 반영할 경우 9.6%로 늘어난다.
잠재경제활동인구는 ‘경제활동인구’로 잡히지 않은 이들 중 최근 4주간 구직활동을 했지만 조사대상주간에 사정상 취업이 가능하지 않았던 ‘잠재취업가능자’와 4주간 구직활동을 하지 않았지만 조사대상주간에 취업을 희망했던 ‘잠재구직자’를 합한 것이다.
잠재경제활동인구를 반영하면 같은 기간 청년 체감 실업률은 19.7%로 높아진다. 시간 관련 추가취업 가능자도 합산할 경우 20.7%에 이르게 된다.
아예 취업을 포기한 ‘니트족(NEET·일하거나 학교에 다니지 않고 취업 의지도 없는 청년 무직자)’이 전체 청년층에서 차지하는 비중도 16%로 경제협력개발기구(OECD) 33개 국가 중 5위다.
변양규 한국경제연구원 거시정책연구실장은 “청년실업률이 높아지는 것은 궁극적으로 청년 인적자원을 낭비하는 것으로 볼 수 있는 만큼 잠재 성장에도 부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밖에 없다”며 “체감 실업률을 통해 청년실업 현황을 직시할 필요가 있다”고 강조했다.
황태호 기자 taeho@donga.com
[☞오늘의 동아일보][☞동아닷컴 Top기사] |
ⓒ 동아일보 & donga.com,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Copyright © 동아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1]고임금 기득권.. 7.5% 위해 고용늘릴 대타협 막아
- [2]정규직 과보호.. 생산성 떨어뜨려 해외이전 부채질
- [3]정규직-비정규직 이분법 다양한 일자리 못만들어
- 과다 명퇴금만 줄여도 일자리 87만개 생긴다
- [단독]檢 “이재명 2심, 대법 판례와도 어긋나” 상고이유서 제출
- 김문수·나경원 ‘청년 공략’…한동훈·안철수 ‘영남 공략’
- 이재명 캠프 계파색 뺐다…선대위원장 윤호중, 총괄본부장 강훈식
- 한덕수 차출론에…김문수 “안될 말” 권성동 “좋은 일”
- 법원 “尹 형사재판 14일 첫 출석, 지하주차장 진출입 허용”
- ‘헌법재판관 지명 충돌’ 한덕수-우원식 굳은 표정으로 악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