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B정부와 밀월 의혹.. 롯데 '친구 게이트' 열리나

김정우 2016. 6. 16. 04:51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롯데그룹의 ‘해결사’로 통하던

李 전 대통령 대학 동기 장경작

제2롯데월드 軍공항 문제 해결

AK면세점 인수-합병 승인

맥주 제조 허가 기준 완화 등

‘롯데 특혜’ 개입 의혹 다시 거론

롯데그룹이 계열사간 자산거래 과정에서 수십억원대 비자금을 조성한 정황이 포착돼 검찰이 수사에 착수했다. 서울중앙지검 특수4부와 첨단범죄수사1부는 10일 오전 서울 소공동에 있는 롯데그룹 본사와 계열사 7곳, 일부 핵심 임원 자택 등 총 17곳을 압수수색하고 있다. 사진은 이날 소공동 롯데그룹 본사 1층 로비의 모습. 배우한기자 bwh3140@hankookilbo.com

롯데그룹 비리 의혹에 대한 검찰 수사가 속도감 있게 전개되고 있는 가운데, 롯데 측과 이명박(MB) 정부의 ‘밀월 관계’도 다시 부각되고 있다. 롯데는 군 당국의 반대로 번번이 무산됐던 제2롯데월드 건축 인허가를 받은 것을 포함, MB정권 시절 가장 많은 특혜를 누린 대기업으로 꼽힌다. 이 같은 정책을 이끌어내는 과정에서 정ㆍ관계 인사들과 ‘가교’ 역할을 한 인물은 누구인지에 관심이 쏠린다.

MB정권 시절 롯데그룹의 ‘해결사’로는 단연 장경작(73) 전 호텔롯데 사장이 지목되고 있다. 장씨는 이명박 전 대통령의 고려대 61학번 동기로, 이 전 대통령이 서울시장으로 있던 2005년 호텔롯데 대표로 영입됐다. 2008년 2월 이명박정부가 공식 출범하자 호텔부문 총괄사장으로 승격돼 호텔사업뿐만 아니라 면세점사업과 롯데월드 사업까지 진두지휘하면서 전면에 나섰다.

대통령의 친구인 장씨의 ‘힘’이 작용했다고 단언할 수는 없지만, MB정부가 들어서자 롯데를 가로막았던 장벽이 해소됐다. 해묵은 숙원과제였던 제2롯데월드 신축 허가가 대표적인 사례다. 김영삼정부 시절인 1994년부터 추진해 오던 제2롯데월드에 대해 이명박 대통령 취임 1년 여만인 2009년 3월 사실상의 건축 허가를 이끌어낸 것이다. 성남 서울공항 이착륙 안전 문제 때문에 ‘절대 불가’ 입장을 고수하던 군 당국은 활주로 각도를 3도 트는 공사 비용을 롯데가 부담하는 조건으로 반대 입장을 철회했다. 당시 제2롯데월드 인허가 문제를 총괄했던 책임자도 장씨였다.

롯데에 대한 MB정부의 특혜성 조치는 이뿐이 아니다. 2010년 공정거래위원회는 롯데면세점의 시장점유율(54.9%) 때문에 독과점 논란이 발생할 수 있는데도 불구하고 AK면세점 인수ㆍ합병을 승인해 줬다. 2012년에는 롯데는 국세청에서 맥주 제조 허가를 받았는데, 그 직전 정부는 맥주 제조 면허를 위한 저장시설 기준을 완화해 줬다. 롯데에 대한 특혜가 끊임없이 잇따르자 당시 야당에선 ‘친구 게이트’라는 말까지 나왔다.

그 결과, 롯데그룹은 MB정권에서 몸집을 엄청나게 불렸다. MB정부 5년 간 자산은 43조원에서 96조원(현재 103조원)으로 두 배 이상 늘어났고, 계열사도 46개에서 79개(현재 93개)로 급증했다. 재계순위도 5위로 뛰어올랐다. 2010년 롯데를 나온 장씨는 현대아산 대표 등을 거쳐 박근혜정부 출범 2년째인 2014년 1월 1일, 청계재단 감사로 합류해 이 전 대통령과의 인연을 계속 이어가고 있다. 청계재단은 이 전 대통령이 2009년 사재 330억원을 출연해 만든 장학재단이다.

현 정부 들어서도 롯데는 정권 실세의 주변 인사들을 중용하고 있다. 소진세 현 대외협력단장, 노병용 롯데물산 사장 등이 대표적이다. 이들은 박근혜정부의 실세 중 실세로 손꼽히는 최경환 전 경제부총리의 대구고 동문들이다. 이들 3명은 모두 대구고 출신 기업인과 관료들이 만든 ‘대구 아너스 클럽’의 멤버들이기도 하다. 일각에서는 지난 2013년 세무조사에서 롯데가 600억원대의 추징금만 납부했을 뿐, 검찰 고발을 피하는 데 소 단장과 노 사장 등이 모종의 역할을 한 게 아니냐는 관측도 나온다.

김정우 기자 wookim@hankookilbo.com

Copyright © 한국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