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 세계최대 와이파이 도시된다
서울시가 세계 최고의 와이파이망 도시 구현을 위해 팔을 걷어붙였다.
서울시는 15일 KT, SK텔레콤, LG유플러스의 민간 이동통신3사와 협력해 서울 전역에 무료 와이파이(Wi-Fi) 1만개소를 구축키로 했다고 밝혔다. 이는 여의도 면적의 27.7배, 서울시 면적의 13.5%에 해당하는 규모다. 앞서 서울시는 지난 8일 총 8500억원의 예산을 들여 796개 공공시설에 무료 와이파이존을 설치하는 등의 계획을 담은 `스마트 서울 2015' 계획을 발표한 바 있다. 이에 따라 서울시는 세계 최고수준을 넘어 와이파이 낙원이 될 것으로 전망된다.
이를 위해 서울시와 자치구는 CCTV와 교통신호기 등을 연결하는 자가통신망의 일부 여유 대역을 이동통신사에 임대하고, 이동통신사는 시민 접근이 쉬운 근린공원, 교차로, 상가도로변 등 주요지점에 1만430개 무료 와이파이존을 설치ㆍ운영할 계획이다. 사업이 완료되면 시내 전체 근린공원 382곳 중 363곳에서, 교통신호제어기가 있는 교차로와 횡단보도 등 교통요지는 모든 지역에서 와이파이에 접속할 수 있게 된다. 이번 MOU 체결로 이동통신 3사는 서울시가 추진하는 무료 와이파이 1만개소 설치에 올해부터 5년간 총 477억원을 투자하게 된다.
최근 스마트폰, 태블릿 PC의 빠른 보급으로 와이파이 수요가 급증하고 있지만, 카페 등 일부 상용시설을 제외하면 공공장소는 와이파이의 사각지대라는 지적을 받아왔다. 이번 협약으로 무료 와이파이 지역은 1개소당 반경 50m까지 사용이 가능하며, 이 지역에서는 통신사에 관계없이 스마트폰, 태블릿PC, 노트북 등 모든 모바일 단말기에서 무선인터넷을 무료로 이용할 수 있다.
이렇게 되면 서울시민은 통신비도 절약하고, 와이파이 음영지역을 해소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다양한 분야에서 IT첨단 인프라를 활용할 수 있게 된다. 또 통신자원을 공동으로 활용해 각종 재난ㆍ재해에도 대비할 수 있게 된다. 통신사에서 설치한 무선공유기(AP)를 공동이용할 경우, 시에서 개발예정인 긴급통화, 공공안전 등의 서비스를 서울 전역으로 확산해 각종 재난재해에 대한 종합적인 대응체계가 가능해진다는 설명이다.
이와 함께 서울시와 이동통신 3사는 1544개소의 공공ㆍ문화ㆍ시민생활공간과 지하철 1~9호선의 모든 차량, 버스, 택시 등 수송률이 높은 교통수단에도 상용 와이파이 존을 올해 안에 설치하기로 했다.
황종성 서울시 정보화기획단장은 "이제 서울은 공공장소면 언제 어디서나 무선인터넷을 사용할 수 있는 최첨단 IT도시가 됐다"며 "앞으로도 구석구석 틈새까지 디지털복지가 확산될 수 있도록 지원 범위를 점차 넓혀가겠다"고 말했다.
박정연기자 jypark@
◆사진설명 : 15일 서울 중구 서소문동 서울시청 간부회의실에서 열린 서울시-통신3사 '서울 전역 공공 와이파이 1만개소 구축' 양해각서(MOU) 체결식에서 오세훈 시장과 참석자들이 협약서에 서명한 뒤 기념촬영을 하고 있다. 왼쪽부터 이상훈 KT 사장, 이상철 LG유플러스 대표, 오세훈 서울시장, 하성민 SK텔레콤 대표.
< Copyrights ⓒ 디지털타임스 & dt.co.kr,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
Copyright © 디지털타임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美, 가려운 부위 공략"…美 관세부과, 우리만의 협상카드 빼 들어야
- 구광모 “최우선 기준은 고객…더 사랑받은 LG 미래 만들자”
- "AI 법·제도, 불확실성·중복규제 최소화해야"
- `디지털금융`에 빠진 금융권…대세는 `생성형AI`
- 금감원·소액주주 눈치보는 상장사…올해 유상증자 규모 급감
- "빚이라도 덜 지려면 접어야" 부동산 시행사 `줄도산`
- `어대명`(어차피 대통령은 이재명), 6월3일까지 유지될까?
- 불붙는 가상화 시장…`탈 VM웨어` 수요 쟁탈전
- 트럼프, 中엔 104% 관세… "美, 맞으면 더 세게 맞받아친다"
- 잦아지는 정치권 발길… 커지는 은행 `상생부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