화성 '소금물 개천' 발견자는 네팔 출신의 25세 美대학원생
(서울=연합뉴스) 한미희 기자 = 28일(현지시간) 미 항공우주국(NASA)이 발표한 화성 관련 중대 연구 결과를 주도한 연구원은 헤비메탈을 좋아하는 네팔 출신의 25세 미국 대학원생인 것으로 밝혀져 관심이 쏠리고 있다.
NASA는 이날 워싱턴DC의 본부 청사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화성에 액체 상태의 물이 소금물 개천 형태로 지금도 흐르고 있음을 보여 주는 강력한 증거가 발견됐다고 발표했다.
이는 화성에 외계 생명이 존재할 가능성을 시사하는 것으로, 화성에 물이 존재했던 흔적 등은 이전에도 발견된 바 있으나 지금도 흐른다는 증거가 제시된 것은 처음이다.
미국 IT 전문매체 씨넷 등 외신에 따르면 이번 연구 논문의 제1저자인 네팔 출신의 루젠드라 오지하(25)는 현재 애틀랜타주 조지아공과대(조지아텍)에서 행성학 박사 과정을 밟고 있는 연구원이다.
10대 때 가족과 함께 미국으로 이주해 애리조나주 투손에 정착한 그는 애리조나대 학부생이던 2010년 이 대학의 고해상도 이미징 과학 연구(HiRISE)팀 책임자인 앨프리드 매큐언 교수와 함께 화성에 물이 흐른다는 결정적 증거인 RSL(Recurring Slope Lineae)을 처음 발견했다.
RSL은 화성 표면의 상대적으로 따뜻한 일부 지역에서 여름에 나타났다가 겨울에 사라지는 가느다란 줄 형태의 지형으로, 오지하와 HiRISE팀 연구원들은 RSL이 염류를 포함한 물이 흐르면서 생기는 현상이라는 것을 밝혀냈다.
오지하와 매큐언 교수는 이듬해인 2011년 이런 연구 결과를 세계 학계에 발표, 이목을 집중시켰다.
현재 학회 참석 차 유럽에 머물고 있는 오지하는 씨넷과의 전화 인터뷰에서 RSL 발견에 대한 연구 내용은 애초 학부 졸업 논문 격이었다고 소개하면서 이 연구가 이렇게 큰 반향을 일으킬지는 예상 못했다는 뜻을 내비쳤다.
그는 "난 우주생물학자도, 행성과학자도 아니고 이제 겨우 25살, 엄밀히 말하면 박사학위를 준비하는 대학원생일 뿐"이라고 말했다.
오지하의 개인 홈페이지에는 머리를 기른 그가 밴드에서 기타를 연주하며 노래하는 모습이 담긴 사진이 배경으로 깔려 있다.
데스메탈을 좋아한다는 그는 "예전에 음악을 하면서 가난했기 때문에 돈을 벌 수 있을 줄 알고 과학으로 온 건데 여기도 돈은 별로 안 된다"며 웃으며 답했다고 씨넷은 전했다.
오지하는 조지아텍에서의 박사 과정이 1년 정도 남았고 NASA의 화성 연구에도 참여하고 있지만 지난 4월 고국 네팔에서 발생한 대지진 연구에도 많은 시간을 쏟고 있다면서 자신은 과학분야에서 뭐든지 하는 사람(jack of all trades)임을 강조했다고 씨넷은 덧붙였다.
mihee@yna.co.kr
- ☞ "길 알려달라"며 男고교생 강제추행 30대女 집유
- ☞ '끝판 막장' 10대…노인 시비 걸어 폭행 큰절 시켜, 징역 5년
- ☞ 화성 '소금물 개천' 발견자는 네팔 출신의 25세 美대학원생
- ☞ '알코올 중독의 굴레' 어머니 살해한 패륜아의 회한
- ☞ "살기 싫다" 추석연휴 자살기도 잇따라…경찰 구조
▶연합뉴스 앱 지금 바로 다운받기~
<저작권자(c) 연합뉴스, 무단 전재-재배포 금지>
Copyright © 연합뉴스. 무단전재 -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 화성 생명체 존재 여부 주목..NASA 2020년 탐사선으로 관측(종합)
- 화성에 지금도 물 흐른다..'소금물 개천' 외계생명 가능성 시사(종합3보)
- '화성 소금물 개천'은 '눈길 염화칼슘'과 같은 이치
- '위증교사' 재판받던 전북교육감 처남, 차 안에서 숨진 채 발견(종합) | 연합뉴스
- 통일교, 한학자 총재 주례로 90개국 남녀 5천쌍 합동결혼식 실시 | 연합뉴스
- 13시간 만에 생환…호미로 땅 파고 철근 10㎝씩 잘라 극적 구조 | 연합뉴스
- 실수로 건 전화 한 통에 27번 '따르릉'…협박까지 한 40대 실형 | 연합뉴스
- 제주 고교 교사 "4·3 유전자" 발언 논란에 학교 측 "깊이 사과" | 연합뉴스
- 밤늦게 귀가하는 여성 '헤드록'하고 집까지 들어간 공무원 | 연합뉴스
- [샷!] "일부러 조금 만드나"…'띠부씰' 감질나네 | 연합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