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성능 플라스틱 반도체 개발..유연 디스플레이 실용화 앞당겨
윤경환기자 2014. 10. 22. 12:41
미래창조과학부는 국내 연구진이 휘는 화면(flexible display) 구현을 위한 핵심 소재인 고성능 n-형 플라스틱 반도체를 개발했다고 22일 밝혔다.
플라스틱 반도체는 현재 사용하고 있는 실리콘 반도체와 달리 접거나 휠 수 있어서 접는 스마트폰 개발에 필수적이다.
지금까지는 플라스틱 반도체의 성능(전하이동도)과 안정성이 실리콘 반도체보다 크게 떨어져 상용화에 쓰이기 어려웠다. 그러나 국내 연구진이 이를 실리콘 반도체 수준으로 끌어올리는데 성공함에 따라 접을 수 있는 스마트폰 개발도 가능할 것으로 전망된다.
이번에 개발된 n-형 플라스틱 반도체는 n-형 유기반도체 중 세계 최고의 전하이동도를 나타냈다. 앞으로 휘는 화면뿐 아니라 유기 태양전지나 스마트 생화학 센서 등 다양한 분야에서 파급효과가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이번 연구는 미래부가 추진하는 글로벌프런티어 사업인 '나노기반소프트일렉트로닉스연구단'의 지원으로 경상대 김윤희 교수팀과 동국대 노용영 교수팀이 공동으로 진행했다. 연구결과는 재료분야 국제학술지인 '선진소재(Advanced Materials)' 온라인판 인사이드 표지로 지난달 23일 게재됐다.
윤경환기자 ykh22@sed.co.kr
[ⓒ 인터넷한국일보(www.hankooki.com),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Copyright © 서울경제.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서울경제에서 직접 확인하세요. 해당 언론사로 이동합니다.
- 한덕수·토허제·명태균 탓?…오세훈, 대선출정식 전날 '돌연 불출마'
- '애플·삼성 다행이네' 美 상호관세 부과 대상서 스마트폰·컴퓨터 등 제외
- 신안산선 붕괴 터널 기둥, 사고 17시간전 이미 파손 상태
- NH투자 '美국채 시장 기능 고장…연준 개입 가능성 커져'
- 민주당 '당원 50% 국민 50%' 확정…비명계 반발
- 관세 ‘90일 유예’한 美, 의회 건너뛴 ‘간단 무역합의’ 추진할 듯
- '햄버거 회동' 김문수·나경원 …“어느 후보와도 협력'
- 오세훈, 대선 불출마 '기승전 反 이재명 넘어야'
- 삼성 파운드리, '4나노'로 퀄컴 XR 칩 만든다 [biz-플러스]
- '명망가 대신 5·18 유가족' 관행 깬 이재명 후원회 출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