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름 40억광년의 우주 최대 구조 발견

2013. 1. 12. 10:09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等方性 우주원리에 어긋나

等方性 우주원리에 어긋나

(서울=연합뉴스) 무려 40억광년에 걸쳐 펼쳐져 있는 방대한 퀘이사(準星) 무리가 처음으로 발견돼 우주 최대의 구조로서 기록을 세우게 됐다고 스페이스 닷컴과 사이언스 데일리가 11일 보도했다.

영국 센트럴 랭카스터대학 등 국제 연구진은 퀘이사(준성 準星) 들이 40억광년 구간에 몰려 있는 `거대 퀘이사 그룹'(LQG)을 발견했다고 영국 천문학회 월보에 발표했다.

퀘이사는 우주 탄생 초기에 존재한 은하 중심부의 초거대 블랙홀로부터 에너지를 공급받는 극도로 밝은 은하핵을 가리키는 것으로 1천만~1억년의 짧은 시간동안 우주에서 가장 밝은 빛을 내 아주 먼 거리에서도 볼 수 있다.

과학자들은 30년 전부터 퀘이사들이 놀랄만큼 큰 `골격'인 LQG를 이루며 한데 모이는 경향이 있고 어떤 것은 그 폭이 6억광년이나 된다는 사실을 알고 있었다.

그러나 연구진이 국제 우주측량 프로젝트 SDSS(Sloan Digital Sky Survey)의 자료에서 발견한 새 LQG는 지금까지의 것과는 차원이 다른 것이었다.

73개의 퀘이사로 이루어져 있고 최대폭 40억 광년, 대부분의 방향으로 16억 광년씩 뻗쳐 있는 이 LQG는 "충분히 먼 거리에서 보면 관찰자가 어느 위치에서 보든 우주는 같아 보인다"는 우주원리에도 들어맞지 않는다.

현대의 우주론은 이론 물리학자 알베르트 아인슈타인의 연구에 기초하며 이처럼 `우주는 어느 쪽으로 보나 같다'는 우주원리의 등방성(等方性) 가설에 의존하고 있다. 이런 원리는 그러나 추정일 뿐 관찰에 의해 `합리적 의심의 여지가 없을' 정도로 입증된 것은 아니다.

이런 원리에 따르면 크기가 12억 광년, 즉 370 메가파섹(Mpc: 1Mpc=3.26광년) 이상인 구조는 발견될 수 없다.

그러나 새로 발견된 LQG는 평균 지름이 500Mpc, 길쭉한 형태이므로 가장 폭이 큰 곳은 1천200Mpc나 된다. 보다 실감나게 비교한다면 이는 우리은하와 이웃 안드로메다 은하간 거리(250만광년)의 1천600배에 이르는 거리이다.

연구진은 "이 LQG의 크기를 가늠하기는 어렵지만 지금까지 전 우주에서 발견된 가장 큰 골격 구조임을 단언할 수 있다"고 말했다.

이들은 "빛의 속도로 간다면 이 구조를 가로지르는데 40억년이 걸린다. 이는 규모 면에서만 놀라운 것이 아니라 아인슈타인 이후 널리 받아들여진 우주원리에도 위배된다는 점에서도 큰 의미를 갖는다"면서 앞으로 이런 놀라운 현상을 계속 연구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youngnim@yna.co.kr

<복지부, 기초연금ㆍ4대질환 공약 100% 실행 `난색'>(종합)

<한국에는 왜 '100년의 가게'가 드물까>

시리아 반군, 북부 최대 공군기지 장악(종합)

<폭설·한파로 골프장 '개점 휴업'>

美무역적자 ↑…對韓 적자폭도 두달째 커져(종합)

<연합뉴스 모바일앱 다운받기>

<포토 매거진>

<저작권자(c)연합뉴스. 무단전재-재배포금지.>

Copyright © 연합뉴스. 무단전재 -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