와이브로 실패의 교훈.. 7년 만에 애물단지로

2013. 10. 3. 18:04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2006년 6월 국내 순수 기술로 개발된 무선인터넷 서비스 와이브로(Wibro)가 상용화됐다. 정부와 전자·통신업계는 모두 '장밋빛 미래'에 들떠 있었다. 당시 정보통신부가 추산한 와이브로의 경제효과는 생산유발 18조원, 수출유발 6조8000억원, 부가가치 창출 7조5000억원으로 막대했다. 한국전자통신연구원(ETRI)은 2010년이면 가입자가 800만명을 넘을 것으로 예측했다.

와이브로는 2004년 정통부가 내놓은 'IT839' 전략에 담긴 8대 신규 서비스의 하나였다. 3개 첨단 인프라, 9개 IT 부문 신성장 동력으로 국민소득 2만 달러를 달성하겠다는 청사진의 핵심은 와이브로였다. 1990년대 중반 세계 최초로 코드분할다중접속(CDMA) 기술 상용화에 성공했던 자신감도 와이브로의 미래를 낙관하게 만들었다.

그러나 7년이 지난 지금 와이브로는 애물단지다. 지난 8월 기준으로 와이브로 가입자는 102만7121명에 불과하다. LTE 가입자 2480만명의 4% 수준이다.

와이브로는 적절한 정책적 뒷받침을 얻지 못하면서 대중화될 시기를 놓쳤다. 가장 큰 실책은 음성 서비스를 불허하고 '데이터 보조용'으로만 사용하도록 한 것이다. 2000년대 중반만 해도 데이터 사용 수요는 적었고, 소비자들은 추가 비용 지불에 부담을 느꼈다. 성장할 수 있는 토대 자체가 좁았던 셈이다. 이 때문에 빠르고 넉넉하게 데이터를 사용할 수 있는 LTE 시대가 열리면서 와이브로의 존재가치는 더욱 낮아졌다.

세계 표준기술로 올라서지 못한 것도 실패의 원인으로 꼽힌다. 와이브로 기술은 국제전기통신연합(ITU)이 지정한 표준 기술이다. 하지만 여러 표준 중 하나일 뿐이다. 세계 통신시장을 주도하는 사업자들이 LTE 기술로 뭉치면서 와이브로의 입지는 점점 줄었다.

결국 정부는 3일 와이브로를 사실상 폐기했다. 미래창조과학부는 와이브로 주파수 대역인 2.5㎓를 사용할 신규 사업자가 와이브로, LTE TDD 중에 선택할 수 있도록 하겠다고 밝혔다. 기존 와이브로 서비스는 유지하지만 사업자가 이용자 보호 대책을 마련해 주파수 회수를 요청하면 검토하겠다는 입장이다. 안이한 대응과 미숙한 정책판단 등이 겹치면서 와이브로는 무대 뒤로 퇴장하고 있다.

김준엽 기자 snoopy@kmib.co.kr

인기기사

  • 김무성, 새누리 연찬회서 추태, 욕설… 논란 커져
  • [단독] 홍사덕, 민화협 의장으로 복귀… '올드보이 호위무사' 삼각편대 완성
  • 女피의자와 '성추문 검사', 항소심서 징역 3년 구형… "바보같은 짓 했다"
  • 노인의 날 씁쓸한 자화상… 60대 노인, 숨진지 5년 만에 백골로 발견
  • '역시 외질' 아스날, 챔피언스리그 2연승… '메시 없는' 바르셀로나 진땀승
  • 우울한 청춘들 '꿈' 속으로… 현실도피 '자각몽' 대유행

GoodNews Paper ⓒ 국민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금지

Copyright © 국민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