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iFi카페]다스베이더 '워프' 전라·강원도는 못간다

김정민 2012. 4. 25. 11:50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이데일리 김정민 기자] 스타워즈의 다크 히로인 다스베이더는 KT의 초청으로 한국 땅에 상륙한 이래 못 가는 곳이 없어 보인다. 지하철, 공원, 아이스크림가게, 심지어 여자화장실까지 들이닥친다. 하지만 아무리 다스베이더가 `워프`를 외쳐도 전라·강원·제주도 및 충청도 일부 지역은 아직까지 출입을 못한다.

`LTE 워프(WARP)`는 KT(030200)가 롱텀에볼루션(LTE)시장의 판도를 뒤흔들 승부수로 꺼내든 카드다. KT가 보유한 광케이블망을 활용, 여러 기지국을 하나로 묶어 하나의 기지국처럼 가상화해 운영하는 기술이다.

특정 기지국에서 트래픽 과부하가 발생하면 다른 기지국에서 이를 소화할 수 있도록 조율하고 각 기지국간 전파 간섭을 최소화해 데이터 속도를 높여준다. KT는 워프를 이용하면 경쟁사 대비 평균 1.7배 빠른 LTE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다고 자신한다.

그러나 KT가 자랑하는 `워프`에는 불편한 진실이 숨어있다. 현재 이 기술은 서울을 비롯한 수도권 일대와 영남지역에서만 서비스가 가능하다. 이유는 단순하다. 워프를 구현하는 통신장비가 이 지역에만 깔려 있기 때문이다.

국내 통신사가 사용하는 무선통신장비는 삼성전자, LG-에릭슨, 노키아-지멘스 등 3곳에서 공급한다. KT의 LTE 장비 또한 이들 3사가 나눠 공급하고 있다. 이 LTE 장비중 워프기능의 핵심인 `두뇌` 역할을 하는게 `워프서버`다. 워프서버는 144개 기지국에서 들어온 신호를 분석, 데이터를 분산하고 기지국 간 간섭현상을 제어한다.

문제는 `워프서버`가 삼성전자에서 주요 특허를 보유한 제품이라는 점이다.

KT 관계자는 "워프를 구현하는 통신관련 기술은 KT가, 장비 쪽은 삼성과 KT가 공동으로 특허를 보유하고 있다"고 설명했다. 게다가 일체형이어서 타사 제품과 호환해 사용할 수도 없다.

이에 따라 LG-에릭슨, 노키아-지멘스가 공급한 장비로 LTE망을 구축한 지역에서는 워프가 불가능하다. 물론 LTE 망을 모두 삼성전자 장비로 구축하면 아무 문제 없다. 하지만 2G종료 지연으로 시간에 쫓기던 KT로서는 선택의 여지가 없었다.

KT는 워프기술을 적용하지 않은 지역은 상대적으로 이동전화 이용량이 적고 기지국간 간격이 넓어 간섭효과가 발생할 가능성도 낮은 만큼 문제가 되지 않는다는 입장이다.

KT 관계자는 "워프가 가능한 수도권과 부산 및 영남 지역에서 발생하는 트래픽이 전체 트래픽의 70%를 차지한다"며 "워프 장비가 없는 지역은 상대적으로 트래픽 부담이 크지 않아 기존 기술로도 불편없이 LTE를 이용할 수 있다"고 말했다.

또 이 관계자는 "LTE 이용자가 급증할 경우를 대비해 이미 LG-에릭슨, 노키아-지멘스와 함께 가상화 기술개발에 착수했다"며 "원천기술을 보유하고 있는 만큼 삼성전자의 특허를 피해 동일한 기능을 구현할 수 있다"고 강조했다.

김정민 (jmkim@edaily.co.kr)

▶ 당신의 생활 속 언제 어디서나 이데일리 ' 신문 PDF바로보기'▶ 스마트 경제종합방송 이데일리 TV▶ 실시간 뉴스와 증권거래, 내 손안의 금융시장 ' 이데일리 모바일 서비스'▶ 전문가를 위한 국내 최상의 금융정보단말기 ' 이데일리 마켓포인트 2.0'▶ 국내 최고 증권 전문가 방송 이데일리 ON, 고객상담센터 1666-2200<ⓒ종합 경제정보 미디어 이데일리 - 무단전재 & 재배포 금지>

Copyright © 이데일리.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