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내 연구진, 태양열 만 배 모으는 기술 개발
조형찬 기자 2011. 6. 18. 21:20
[뉴스데스크]
◀ANC▶
태양열을 1만배로 모으는 기술이 개발되었습니다.
이렇게 하면 2천도가 넘는다네요.
최종목표는 수소에너지입니다.
조형찬 기자가 보도합니다.
◀VCR▶
태양의 고도와 방위를
정밀하게 추적해
태양광을 효율적으로
한곳에 모으는
'헬리오스탯'입니다.
백여 개의 반사거울이 붙은
타원형 집광기로 태양광을 보내면,
세라믹으로 돼 있는 반응기에
1,600℃의 열이 모이게 됩니다.
반응기의 열이
얼마나 뜨거운지 쇠톱을
직접 대 보겠습니다.
단 3-4초 만에 이렇게
녹아내립니다.
집광기를 한차례 더 사용하면
만 배로 태양광을 모을 수 있고,
그 온도는 무려 2,200℃까지
올라갑니다.
국내 연구진이
아시아 최초로 개발한
태양로 기술입니다.
기존 화석연료를 쓸 때보다,
메탄에서 수소를 25% 더
분리해 낼 수 있습니다
◀INT▶ 강용혁 공학박사/한국에너지기술연구원
"이 기술을 발전시켜 물에서
직접 수소를 분리해 내는 게
최종 목표입니다."
태양광 집광력의 오차를 줄이면
3천℃ 이상 초고온도 가능합니다.
이 온도를 견디는 반응기를 만들면,
물에서 직접 수소를 분리할 수 있어
수소 에너지 상용화의 길이
열릴 것으로 기대됩니다.
MBC뉴스 조형찬입니다.
(조형찬 기자)
[저작권자(c) MBC (www.imnews.com) 무단복제-재배포 금지]
Copyright © MBC&iMBC 무단 전재, 재배포 및 이용(AI학습 포함)금지
MBC에서 직접 확인하세요. 해당 언론사로 이동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