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젠 개인방송도 모바일로..MJ 가라사대 "BJ는 가라"

조희영 입력 2015. 9. 21. 04:04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판도라TV, 모바일 개인방송 '플럽' 국내 첫 출시美미어캣 열풍..두달새 기업가치 5200만달러로트위터의 페리스코프 日평균 35만시간 'ON AIR'
더 이상 기획사에 소속되고 지상파 방송에 출연해야 스타가 될 수 있는 시대는 지났다. 스스로 집에 PC카메라를 설치해 요리를 하거나 게임하는 모습을 촬영하는 등 인터넷을 통해 개인 방송을 하는 사람들이 늘어났다. 솔직한 입담과 같은 취미를 공유하며 동년배의 마음을 사로잡는 다중채널네트워크(MCN) 창작자들의 시대가 왔다. MCN 창작자들은 대부분 PC를 기반으로 발전해왔다. 집이나 방에서 컴퓨터나 노트북 등에 웹캠을 연결해 방송을 진행했다.

하지만 시청자의 트래픽이 모바일로 옮겨가면서 방송을 하는 사람들도 모바일 기반으로 이동하고 있다. 고스펙 스마트폰과 LTE 통신망의 보급으로 실시간 영상 스트리밍이 가능해지면서 누구나 모바일로 개인 방송을 할 수 있게 됐다.

국내에서 온라인 동영상 공유 시대의 서막을 열었던 판도라TV가 국내 최초로 모바일 개인 방송 서비스 '플럽(Plup)'을 내놨다.

플럽은 스마트폰만 있다면 어떤 곳에서도 생생하게 개인 방송을 할 수 있는 애플리케이션(앱)이다. 플럽은 게임을 한다는 플레이(play)와 고조되고 흥미진진한 느낌을 주는 업(up)의 합성어로, 누구나 신나게 개인 방송을 즐긴다는 뜻이다. 최근 네이버에서 선보인 연예인들의 개인 방송 서비스인 '브이(V)'나 기존 방송 콘텐츠를 기반으로 한 다음카카오의 카카오TV와는 달리 일반인 모두에게 열려 있다.

방송 방법 또한 간단하다. 플럽 앱을 다운받은 뒤 방송하기 버튼만 누르면 누구나 실시간으로 방송을 할 수 있다. 원하는 방송에 들어가 방송을 시청하고 채팅을 통해 실시간으로 소통이 가능하다. 즐겨찾기로 추가한 모바일자키(MJ)가 방송을 하면 알림을 받을 수도 있다. 모든 시청자가 MJ와 방송 화면을 함께 공유한다. 시청자들은 좋아하는 MJ에게 '별'을 선물할 수도 있다. 별은 무료별인 '인기별'과 유료 아이템인 '특별'로 구분돼 있는데, MJ들은 '특별'을 통해 수익을 얻기도 한다. 이용자의 반응은 뜨겁다. 베타 서비스 출시 첫날부터 일상을 주제로 한 300여 개가 넘는 개인 방송 채널이 열렸다. 서비스 한 달 만에 방송 건수가 7000건을 넘겼는데 그 중에는 15세 중학생부터 70세 할아버지까지 다양한 연령층이 일상 모습을 방송했다. 이달 말에는 시청자가 선호하는 MJ를 소환해 방송을 요청할 수 있는 '보고싶어요' 기능을 추가할 예정이다. 또 한국을 중심으로 아시아 전역에 서비스를 선보여, 연말까지는 전 세계에 진출한다는 방침이다.

모바일로 개인 방송 시장이 옮겨가는 것은 이미 전 세계적인 흐름이다. 가장 먼저 모바일 동영상 스트리밍 시장을 이끈 것은 '미어캣(meerkat)'이다. 미국의 스타트업 '라이프온에어'가 지난 2월 출시한 앱으로, 한 달 만에 다운로드 수 30만을 넘기고 두 달 만에 기업가치가 5200만달러를 넘어섰다. 이에 맞서 올해 3월 트위터가 1억달러에 인수한 모바일 개인 방송 서비스인 '페리스코프'도 만만치 않다. 출시 4개월 만에 이용자 1000만명, 하루 평균 방송 시간은 35만시간을 넘겼다. 둘 다 트위터 트윗 기능을 채팅으로 활용한다. 앱 안에서 나누는 대화가 모두 트위터 피드로 올라가는 방식이다.

페리스코프가 트위터의 차기 성장동력으로 주목받으면서 트위터는 라이벌 서비스인 미어캣의 소셜 그래프 접근을 제한하기도 했다. 소셜 그래프 접근을 하지 못하면, 미어캣 내에서 기존 트위터 폴로잉 목록을 불러올 수가 없어 사용자들이 불편을 겪게 됐다.

모바일 개인 방송 시장의 성장으로 방송 제작자와 시청자의 벽은 점차 허물어지고 있다. 동시에 다양한 콘텐츠 수요를 충족시킬 뿐만 아니라 사회적 기능도 지닌다. 갑자기 발생한 사고 현장이나 천재지변으로 인한 주변 상황 등을 모바일 개인 방송을 통해 실시간으로 중계할 수 있다.

[조희영 기자]

[ⓒ 매일경제 & mk.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Copyright © 매일경제 & mk.co.kr.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