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OD 전성시대'..IPTV 경쟁 고조
|
주문형 비디오(VOD)가 유료방송 시장의 주력 수익원으로 자리를 굳혀가고 있다. 이 때문에 각 유료방송 업체들도 VOD 수익을 높이기 위한 차별적 콘텐츠 확보 경쟁에 불을 붙이고 있다.
6일 관련 업계 및 국회 미래창조과학방송통긴위원회 소속 최민희 의원에 따르면 KT, SK브로드밴드, LG U+ 등 인터넷TV(IPTV) 3사와 케이블TV 4사등 유료방송사업자 7개사가 지난 2011년부터 2014년 6월까지 기록한 VOD서비스 매출은 1조1464억원이다.
이 중 월정액 VOD 매출 규모는 총 3045억원이다. 약 26.6%가 고정적으로 VOD를 소비하는 충성고객인 셈이다.
업계에선 지난해에만 약 2000억원 규모를 형성한 것으로 추산되는 월정액 VOD 시장이 올해는 3000억원으로 50% 이상 성장할 것으로 내다보고 있다.
■IPTV 중심 VOD 시장 폭증
특히 VOD 시장은 IPTV를 중심으로 급성장하고 있다. 방송통신위원회가 발표한 자료에도 지난 2013년 국내 전체 VOD 시장 매출의 68%가 IPTV 3사에서 발생했다.
이 때문에 IPTV 업체간 차별화된 콘텐츠 공급을 위한 경쟁도 치열해지고 있다.
최근 LG U+는 수십억원을 들여 미국 HBO의 인기 미국드라마를 국내 최초 독점공개하기도 했다.
다소 무리수를 두었다는 평도 있지만, 올해 VOD 시장이 대폭 신장세를 보일 것이란 전망과 함께 고객확보를 위한 한 수였단 분석도 있다.
올레tv도 독점 공개에 공들이고 있다. 6일 영화 인터스텔라 클라우드DVD 예약판매를 독점에 앞서 미국드라마 고담과 플래시를 독점으로 VOD , 또 영화 '스트레스를 부르는 그 이름 직장상사 2'와 '핑거TV'도 최근 국내에 독점이란 타이틀을 걸고 국내에 들여왔다.
■드라마도 VOD로
지난달 방통위가 발표한 자료에 따르면 국내 방송 소비자들의 소비 패턴은 VOD로 급속히 전환되고 있다.
방통위가 TV프로그램 VOD 시청시간을 분석한 결과, TV 본방송 이후 1주일 이내에 시청하는 시간이 전체(본방일 후 30일 이내 기준) 시청시간의 46%에 달하는 것으로 조사됐다.
방통위는 이 같은 결과를 반영해, 올해 안에 VOD 등 다양한 디바이스에서 소비되는 콘텐츠를 종합한 통합시청률을 내겠다고 발표하기도 했다.
업계관계자는 "지금 업체별로는 새로운 먹거리인 VOD 확대를 위해 전사적인 지원을 펴고 있다"며 "극장 동시 상영에서부터, 드라마, 에전영화, 해외 콘텐츠 등 다양한 VOD를 많이 배급해 소비자들을 선점하기 위해 경쟁하고 있다"고 말했다.
pja@fnnews.com 박지애 기자
※ 저작권자 ⓒ 파이낸셜뉴스. 무단 전재-재배포 금지
Copyright © 파이낸셜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김흥국, 尹파면에 "판결이 대한민국 갈라놔…국민 완전 무시"
- "돈만 받으면 괜찮은 걸까"..장제원, '성폭행' 고소한 비서 피해정황 글 나와
- "키스신 본 딸 '아빠·이모도 사랑하는 사이?"…남편·여동생 불륜 발각
- 故 송해, 95세 사망원인은 심근경색…"화장실 문에 기댄 채 발견"
- 수원 오피스텔 앞에서 여성 2명 숨진채 발견...확인해 보니 '모녀 관계'
- 김원훈 "모텔촌 아니냐" 무례 논란…'네고왕' 사과에도 비판 지속 [N이슈]
- 박지원 "尹, 틀림없이 죽는다… 4월 4일 사(巳)시 탄핵 선고"
- 장영란 가슴에 손댄 김영철, "남편에 죄송" 사과후 비난 쏟아져…왜?
- 황신혜 엄마도 미인…"86세에 미니스커트라니"
- 가세연, 김수현 침대서 잠든 '17살' 김새론 영상 공개…식탁엔 소주잔 2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