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애플 횡포 못참아" 반기 들었다
결제방식을 둘러싼 애플과 애플리케이션(이하 앱) 개발사간 갈등이 전 세계적으로 심화되고 있는 가운데, 국내 인터넷ㆍ콘텐츠 업계가 애플에 반기를 들고 공동 대응에 나섰다.
한국인터넷기업협회(이하 인기협), 한국무선인터넷산업연합회, 한국음악콘텐츠산업협회, 한국인터넷콘텐츠협회 등은 10일 논란이 되고 있는 애플의 일방적인 앱내결제(IAP : In App Purchase) 정책에 반대하는 의견서를 공동으로 작성해 애플측에 전달했다고 밝혔다.
최근 애플은 앱스토어에서 판매하는 앱은 물론, 앱 사용 중 일어나는 모든 유료결제의 경우에도 반드시 자사의 IAP를 통하도록 정책을 변경했다. 게임 내 아이템 판매나 소셜네트워크서비스(SNS) 사용자의 선물 판매, 음원 스트리밍 서비스의 결제 등에도 자사 결제방식을 강제 적용하도록 한 것이다. 이 경우 개발사가 얻는 모든 수익의 30%가 애플 몫으로 돌아가게 되며, 반면 개발사가 얻는 수익은 그만큼 줄어들게 된다는 게 인기협 등의 설명이다.
인기협 등은 특히 애플이 이 정책을 따르지 않는 앱에 대해서는 모두 삭제하기로 결정한 게 더 큰 문제라고 지적했다. 국가별 콘텐츠 특성과 관계없이 단일한 정책을 적용하고, 거래상 우월한 지위를 이용해 애플의 결제 시스템을 이용하도록 강제하고 있다는 것이다.
최성진 인기협 사무국장은 "국내에서 보편화되고 있는 휴대폰 결제와 같이 콘텐츠 구매 결제방식을 다양화해 소비자의 선택권을 보장하고 개발자와 상생 차원에서 합리적인 수익분배를 해야 한다"며 "그러나 이같은 주장을 전달할 수 있는 협의 채널이 현재 전혀 없는 상황"이라고 말했다.
인기협 등은 향후 공동의견서에 대한 애플의 회신결과에 따라 업계의 추가 공동대응 수준을 결정할 예정이다. 또 필요하다면 방송통신위원회와도 대책을 협의한다는 방침이다.
한민옥기자 mohan@
< Copyrights ⓒ 디지털타임스 & dt.co.kr,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
Copyright © 디지털타임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美, 가려운 부위 공략"…美 관세부과, 우리만의 협상카드 빼 들어야
- 구광모 “최우선 기준은 고객…더 사랑받은 LG 미래 만들자”
- "AI 법·제도, 불확실성·중복규제 최소화해야"
- `디지털금융`에 빠진 금융권…대세는 `생성형AI`
- 금감원·소액주주 눈치보는 상장사…올해 유상증자 규모 급감
- "빚이라도 덜 지려면 접어야" 부동산 시행사 `줄도산`
- `어대명`(어차피 대통령은 이재명), 6월3일까지 유지될까?
- 불붙는 가상화 시장…`탈 VM웨어` 수요 쟁탈전
- 트럼프, 中엔 104% 관세… "美, 맞으면 더 세게 맞받아친다"
- 잦아지는 정치권 발길… 커지는 은행 `상생부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