암환자·가족 "연명치료 중단해야"
<아이뉴스24>
[정기수기자] 국내 암환자와 가족은 물론 암전문의나 일반인까지도 암환자에 대한 연명치료 중단과 적극적인 통증 조절'을 지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국립암센터 암관리연구과 윤영호 박사팀은 국내 17개 병원에서 암환자 1242명과 가족 1289명, 암전문의 303명, 일반인 1006명을 대상으로 조사한 결과, 암환자(89.9%)와 가족(87.1%), 암전문의(94.0%), 일반인(89.8%) 등 대다수가 무의미한 연명치료를 중단해야 한다는 의견을 나타냈다고 31일 밝혔다.
이번 조사결과를 담은 논문은 캐나다의사협회지(Canadian Medical Association Journal) 5월호에 게재됐다.
논문에 따르면 윤 박사팀은 무의미한 연명치료 중단과 소극적 안락사, 적극적 안락사, 적극적인 통증 조절, 의사보조 자살 등 5가지 사항에 대한 태도를 조사했다.
소극적 안락사에 해당하는 '식물인간의 연명치료 중단'에 대해서는 암환자(76.0%), 일반인(74.9%), 가족(70.3%), 암전문의(60.8%) 등의 순으로 찬성 비율이 높았다.
적극적인 안락사와 의사보조 자살의 경우 암환자(55.3%, 51.7%)와 일반인(50.4%, 49.2%)의 절반 정도만이 찬성 의사를 보였다. 환자가족(38.4%, 35.6%)은 40% 미만, 암전문의(8.3%, 6.3%)는 10% 미만의 찬성 의사를 나타냈다.
소득별로 살펴보면 고소득층에서 전체적으로 무의미한 연명치료와 적극적인 통증 조절에 더 찬성 의견이 많았다.
고령층, 남성, 무종교, 저학력 계층에서는 적극적인 안락사와 의사보조자살에 대한 찬성률이 상대적으로 높았다.
윤영호 박사는 "미국, 네덜란드, 캐나다 등에서는 지지도가 60~90%에 달하지만 우리나라는 50% 정도가 지지했다"면서 "삶의 마지막에 관한 의사결정에서 환자의 자율성과 개인주의가 강한 유럽이나 북미가 안락사를 대체로 받아들이는 반면 가부장적이고 가족을 중시하는 아시아에서는 덜 수용적인 것으로 이해된다"고 설명했다.
그는 이어 "영국, 캐나다, 미국 등과 같이 품위 있는 죽음을 보장하기 위한 국가적 차원의 구체적인 대책을 마련해야 한다"고 덧붙였다.
/정기수기자 guyer73@inews24.com
[관련기사]▶ 보령제약, 암환자 식욕부진 개선제 '메게이스 스틱형 파우치' 출시▶ "갓 태어난 영아도 암수술 가능하다"▶ 국내 제약업계, '표적항암제' 개발로 활로 찾는다▶ 인구대비 암환자 비율 '울산'이 가장 높아▶ "말기 암환자, 완화의료 이용률 9% 불과"☞ IT는 아이뉴스24연예ㆍ스포츠는 조이뉴스24☞ 새로운 시각 즐거운 게임, 아이뉴스24 게임☞ 메일로 보는 뉴스 클리핑, 아이뉴스24 뉴스레터(Copyright ⓒ 아이뉴스24.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Copyright © 아이뉴스24.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트럼프 "우리는 한국 군대 위해 수십억달러를 낸다"
- 트럼프 "시진핑과 통화했다"…미중 무역전쟁 '극적 전환' 맞나
- "수면제 몇알부터 위험해요?" 수상한 119 전화…대학생 목숨 구한 소방관
- 또 강남 도로 한복판서 '싱크홀'…마포서도 발생
- "불가리부터 펜할리곤스까지"…'어메니티'가 만든 욕실 문화
- "휴게소서 차 살피다가"…화물차 미끄러져 운전자 사망
- "반팔 대신 경량 조끼"⋯오락가락 날씨에 바뀐 패션
- '당게' 꺼내든 洪, 韓 "맘대로 생각하라"…'맞짱 공방' 점입가경
- "이제 개 산책하다 밥 먹으러 갈 수 있겠네"…법적 근거 마련
- [내일날씨] 맑고 온화한 봄의 절정…'오존'은 조심하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