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3세기 목선서 '고려 타임캡슐' 건졌다
고려시대 1260~1268년 무렵 임시수도인 강화도에 사는 권력자들에게 바칠 각종 물품을 싣고 지금의 전남 여수 혹은 인근에서 출항해 서해 연안을 따라 북상하던 배가 충남 태안 앞바다에서 침몰했다. 그로부터 750여년이 흐른 뒤 '마도 3호선'으로 명명된 이 목선이 확인돼 수중 발굴조사가 이뤄졌다. 선박에서는 고려시대의 역사와 삶의 모습을 보여주는 다양한 유물들이 쏟아져 나왔다.
고려시대 대몽 항쟁의 선봉에 섰던 삼별초의 지휘관이 장군급이라는 사실을 처음 확인시키는 목간 등 군사·정치·경제 실상과 함께 고려시대 사람들의 먹거리, 장기 등 일상생활을 밝힐 수 있는 유물들이 대거 인양됐다.
충남 태안 앞바다 해저에서 발견된 13세기 선박 '마도 3호선'에서 고려시대의 역사와 생활을 보여주는 유물·자료가 대거 발굴됐다. 문화재청 국립해양문화재연구소가 6일 공개한 이 선박에서 발굴 인양한 도자기와 말린 홍합, 젓갈, 각종 곡물류. | 국립해양문화재연구소 제공
6일 국립고궁박물관에서 마도 3호선의 수중 발굴 결과를 공개하는 기자회견을 연 국립해양문화재연구소 성낙준 소장은 "고려시대의 타임캡슐"이라고 말했다.
현재까지 발견된 고려시대 선박 중에서 가장 상태가 양호한 마도 3호선에서는 묵서로 적은 목간(木簡) 32점과 도기호(陶器壺) 28점, 각종 곡물류, 사슴뿔, 장기돌 등 총 287점의 유물이 인양됐다.
목간 판독 결과 마도 3호선의 운항시점(1260~1268년), 출항지(전남 여수 혹은 인근), 목적지(강화도), 각종 상납 물품, 그 물품을 받을 수취인 등이 확인됐다.
특히 수취인을 적시한 '우삼번별초도령시랑(右三番別抄都領侍郞)'이라고 적힌 목간은 삼별초 조직과 운영을 보여주는 중대한 발견이다. 목간의 문구는 우삼번 별초의 도령이면서 시랑(4품·장군과 같은 품계)이라는 뜻이다. 삼별초가 좌우 각 3번(番)으로 나뉘어 운영되었음을 보여주는 구체적 증거가 처음 드러난 것이다. 종래 7~8품 하급 무관으로 추정됐던 삼별초 지휘관을 정4품 시랑이 맡았다는 것도 새로운 사실이다.
이 선박에 실린 물품을 받을 사람의 하나로 삼별초 지휘관을 지목해 삼별초 실체 연구에 획기적 자료로 평가되는 목간(왼쪽 사진). 오른쪽은 사슴뿔과 뼈 | 국립해양문화재연구소 제공
마도 3호선에 실린 물품의 수취인 중에는 무신정권을 무너뜨린 최고 권력자 김준(金俊)도 들어 있다. 목간 중에 '사심김영공주택상(事審金令公主宅上)'이라는 수취인이 나온다. '사심 김 영공님 댁에 올리는 물건'이라는 뜻이다. '사심 김 영공'은 무신정권 60년의 종지부를 찍은 당시 최고 권력자 김준을 가리킨다. 이 외에도 시랑 신윤화(辛允和), 유승제(兪承制·정3품)가 목간에 수취인으로 등장한다.
마도 3호선에서 발굴된 물품은 당시 권력자들이 즐겨 먹은 음식이 무엇이었는지를 보여준다. 배에 실린 주요 화물 대나무 상자에는 생선뼈가 가득 들어 있었고, 말린 홍합·생전복·젓갈 등을 담은 항아리도 발견됐다. 육포와 어포도 다수 있으며 이 중 '견포(犬脯)'는 개고기를 말린 포로 추정된다. 목간에서는 상어를 뜻하는 '사어(沙魚)'라는 말도 확인됐다. 홍합 털인 족사(足絲)와 사슴뿔도 대량 나왔는데, 조사단은 지혈제 등 약재로 사용하기 위한 것으로 추정했다.
장기돌장기돌 47점도 발굴됐다. 검은색 타원형 조약돌 앞면과 뒷면에 장군(將軍), 차(車), 포(包), 졸(卒) 등이 뚜렷이 새겨져 있다. 선원들이 오락거리로 즐긴 것으로 추정되는데, 고려 중기 송나라에서 유입된 장기가 일반에 많이 두어졌다는 사실을 알 수 있다.
< 주영재 기자 jyeongi@kyunghyang.com >
경향신문 '오늘의 핫뉴스'
▶ '심은하 남편' 지상욱, "인격 말살"… 왜?
▶ 술먹는데 전화 "오빠, 뭐해"… 알고보니
▶ 감독 "13세 소녀와 성관계, 33년동안 후회…"
▶ 슈퍼주니어 1회 TV출연료가… 황당
▶ '돼지' 놀림받던 女… '화장술'로 인생역전
공식 SNS 계정 [경향 트위터][미투데이][페이스북][세상과 경향의 소통 Khross]- ⓒ 경향신문 & 경향닷컴(www.khan.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경향닷컴은 한국온라인신문협회(www.kona.or.kr)의 디지털뉴스이용규칙에 따른 저작권을 행사합니다.〉
Copyright © 경향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겨우 잡았던 산불, 안동·의성서 재발화…중앙고속도로 통제·헬기 투입
- [속보]산불 용의자 손놓고 있던 의성군, 논란 일자 뒤늦게 “경찰에 이첩”
- 최상목, ‘환율 오르면 이익’ 미 국채 투자 논란…민주당 “언제 샀는지 밝혀라”
- 헌재 “피청구인 윤석열 파면” 선언할 때다 [김민아의 훅hook]
- [단독]탄핵 찬성 여성 폭행한 20대 남성 송치···“아픈 척·자해공갈” 조롱도
- ‘빅5’ 가톨릭·서울·성균관·연세·울산 의대 ‘복학 신청’ 가닥
- 백악관 허술한 보안 만천하에…이스라엘도 항의 나선 ‘시그널 게이트’ 파장
- 미얀마 강진 사망자 1000명 넘었다…외교부 “30억원 인도적 지원 결정”
- 민주당, 검찰 문재인 소환에 “아직 정신 못 차려…윤석열 정권 최후 발악”
- 이재용·곽노정, 시진핑 만났다…글로벌 기업 CEO 40여명과 함께 회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