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톡!톡!Talk] "연인" 배우들 포토타임 제한 눈살

2004. 10. 6. 04:59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서울신문]“신행정수도의 명칭을 ‘연기시’로 해야 할까요,아니면 장남평야 일대라고 해서 ‘장남시’로 해야 할까요.아마 새수도 명칭 때문에 적지 않은 논란이 생길 겁니다.” 최근 생활 주변에 몰라보게 달라진 것이 하나 있다.다름 아닌 ‘길 이름’이다.서울의 경우 원앙길(청담동4 일대),배곶이길(삼성동3 일대),갯벌길(포이동163),맛고을길(역삼동679)등 낯선 푯말을 어느새 출퇴근 길에 접하게 됐다.

배우리(66・서울시 교통연수원 교수) 한국땅이름학회 명예회장은 국내 땅이름의 최고 권위자로 꼽힌다.이 분야를 20년째 연구해 오고 있다.특히 지난 1997년부터 행정자치부가 추진 중인 ‘새 주소(길 이름) 지정사업’의 핵심 자문 역할을 맡고 있다.새 지하철역 이름짓기도 마찬가지.3호선의 학여울역,5호선의 애오개역,6호선의 돌곶이역・독바위역,7호선의 마들역 등도 그의 연구・자문에서 비롯됐다.

그는 서울・부산 등 광역 시・도의 경우 현재 길이름 짓기가 대부분 마무리됐지만 기초 지자체의 경우 3〜4년은 더 걸려야 한다고 밝혔다.이 일로 일주일이면 2〜3일 지방 나들이를 하다 보니 전국 구석구석 모르는 데가 없다.‘현대판 김정호’라는 별명도 붙었다.

“전국 법정 지명이 4만여개나 되지만 순 우리말로 표기된 곳은 ‘서울’이 유일합니다.신행정수도의 명칭도 우리 고유의 이름으로 정해야 바람직하지 않을까요.” 그는 또 “신행정수도의 인구가 50만이라고 할 때 길 이름까지 포함,1만 5000개의 새 지명이 필요하다.”면서 “조상이 남겨준 토박이 땅이름을 되살려 그 혼을 이어받아야 할 것”이라고 강조했다.

“광복후 가장 먼저 추진한 것이 우리말・우리것 되찾기였는데 요즘에는 관심조차 없을 정도로 시들해졌지요.내년이 광복 60주년입니다.부끄럽지 않으려면 지금부터라도 다시 불을 지펴야 합니다.” 그는 친일 행적을 파헤치는 정부의 노력도 중요하지만 우리 주변에 일제의 지명,즉 생활 주변의 ‘일제냄새’를 털어내는 일이 더욱 시급하다고 강조한다.예를 들어 서울의 대표적 명소인 ‘인사동(仁寺洞)’의 경우 ‘관인방(寬仁坊)’의 ‘인’과 ‘사동(寺洞)’의 ‘사’를 합쳐 일제가 멋대로 명명했다.이곳은 원래 원각사(圓覺寺)라는 절이 있어 ‘절골’‘사동’이라고 불렸다고 그는 설명했다.지금도 ‘사동면옥’이 남아 있어 쓸쓸히 이를 뒷받침해 주고 있단다.옥인동 역시 일제에 의해 ‘옥동’과 ‘인왕동’의 첫자가 합해졌다고 덧붙였다.또 명동은 원래 명례방이었다고 했다.

그는 “서울시청과 남대문 주변의 ‘태평로’도 사신을 접대하던 ‘태평관’(삼성본관 옆자리)에서 비롯됐다.”면서 “제대로 하자면 ‘관정로’가 옳다.”고 지적했다.아울러 “서울의 신림1〜13동,봉천1〜12동의 숫자 대신 고유 지명으로 바꿔줘야 한다.”고 역설했다.

한국땅이름학회는 지난 84년 설립돼 현재 250여명이 회원으로 활동하고 있다.2남1녀의 자녀에게도 ‘배꽃나라’‘배힘찬’‘배한’ 등 순 우리말 이름을 지어준 배회장은 다음달 ‘한국지명유례집’을 발간할 예정이다.

김문기자 km@seoul.co.kr[저작권자 (c) 서울신문사]

Copyright © 서울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