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기들 다 어디로 갔나 '아시아 4龍' 저출산 늪
[서울신문]'도대체 아기들은 모두 어디로 갔나요?'
홍콩의 젊은 층이 직면한 문제를 다루는 시민단체 '홍콩 청년그룹 연합회'가 지난 6월 발행한 계간지 '홍콩 청년'은 이 같은 제목의 특집 기사에서 "아기들을 찾기 힘들다"며 사회 전체가 저출산 문제를 고민해야 한다고 토로했다.
홍콩과 함께 '아시아의 4마리 용'으로 불리며 풍부한 노동력을 바탕으로 경제 성장을 이뤄온 대한민국과 타이완, 싱가포르도 사정은 마찬가지다. 미국 중앙정보국(CIA)이 발표한 '2013 월드 팩트북'에 따르면 싱가포르의 출산율은 0.79로 세계 224개국 가운데 꼴찌를 차지했다. 홍콩과 타이완의 출산율도 1.11 정도로 최하위 수준이며, 우리나라의 출산율도 1.24로 219위에 그쳤다.
'아시아의 4마리 용'과 유럽의 저출산 현실은 얼마나 심각하고 각국은 이를 해결하기 위해 어떤 노력을 기울이고 있을까. 서울신문은 한국언론진흥재단과 함께 '세계의 저출산 현장을 가다'라는 제목의 심층기획 시리즈를 마련했다. 홍콩과 타이완, 싱가포르, 프랑스의 저출산 현장을 직접 취재했으며, 우리나라의 현실과 과제도 생생히 전달할 예정이다. 이들 국가는 저출산 문제가 노동력 저하로 이어져 지속가능한 성장을 저해할 수 있다는 위기감 속에 각종 정책을 추진하기 위해 진땀을 흘리고 있다. 저출산 문제는 국가와 사회 전체가 함께 나서 해결해야 한다는 경각심이 반영된 결과라는 게 전문가들의 분석이다.
김미경 기자 chaplin7@seoul.co.kr
▶ 2013년 계사년 뱀띠해, 나의 신년 운세는 어떨까?
▶ 관심종목에 대한 증권 전문가의 상세한 진단과 분석 서비스
▶ 최신 속보와 뉴스 검색을 서울신문 모바일 웹에서 m.seoul.co.kr
'맛있는 정보! 신선한 뉴스!' 서울신문( www.seoul.co.kr) [ 신문 구독신청]
- Copyrights ⓒ서울신문사.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
Copyright © 서울신문. 무단전재, 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 "홍콩 저출산 위험수위.. 문 닫는 학교 생겨"
- 한산한 유아용품 매장.."육아비 많이 들어 둘째는 생각도 안해"
- "상당수 20대 아이 낳고 싶어해 변화 기대"
- "아이 키우는데 우호적 환경 조성.. 무상보육 등 외국사례 참고"
- "2018년부터 노동력 감소".. 민관 합동 인구정책 여론수렴 나서
- “의원 배지 떨어진 설움” 민경욱 국회왔다 새차 견인당해
- 아파트 방화살인범 안인득, 무기징역 감형 불복 대법원 상고
- 목줄 없이 달려든 개에 놀라 전치 3주…견주 벌금 50만원
- “박사방 22GB 싸요 싸”… 아직도 조주빈은 있다
- “양질의 일자리 부족 가장 큰 원인… 직무능력으로 임금 받아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