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쪽 눈을 가린 조선시대 초상화

2012. 12. 4. 10:38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경기도박물관, 장만 초상화 2점 공개

경기도박물관, 장만 초상화 2점 공개

(서울=연합뉴스) 김태식 기자 = 조선시대 선조·광해·인조 시대에 국방 최일선에서 활약한 문신이자 장군인 장만(張晩.1566-1629)의 초상이 공개됐다.

경기도박물관(관장 조유전)은 장만의 후손인 인동장씨 태상경공파 충정공 종중이 관리를 위탁한 장만 초상을 최근 선보이기 시작했다고 4일 말했다.

초상화는 관복과 유학자 옷을 각각 걸친 2점으로 구성된다.

관복본 초상화는 장만이 이괄의 난을 평정한 공으로 진무공신(振武功臣)에 책봉된 직후인 인조 3년(1625)에 도화서(圖畵署) 화원(畵員)이 그린 것으로, 16세기 말-17세기 초 공신도의 전형을 보인다고 박물관은 덧붙였다.

이 초상화는 오사모(烏紗帽)를 쓴 정장 관복 차림에 얼굴과 몸을 왼쪽으로 한 전신의좌상(全身椅坐像)이다. 쌍학(雙鶴) 문양을 넣은 흉배와 서대(혁대)를 갖춰 문관 종1품임을 알 수 있다.

얼굴 세부는 가는 붓으로 그렸고, 의습(복식)은 굵은 묵선으로 윤곽선을 긋고 먹의 농담으로 처리함으로써 주름이 없는 편이다.

화면 상단에 '옥성부원군증익충정공만화(玉城府院君贈謚忠定公晩畵)'라고 썼다. 충정(忠定)은 그가 죽은 뒤에 왕이 내린 시호이므로 아마도 이 글은 사후에 써 넣은 것으로 보인다고 박물관은 말했다.

유복 차림 장만 초상화는 학창의라는 옷을 걸친 전신의좌상이다. 왼손에 부채를 들고 호피를 깐 의자에 앉은 모습이다. 학창의 깃은 농담 없이 검은 묵선으로만 표현했다.

임진왜란에서 조선의 바다를 이순신이 지켜냈다면 병자호란 때 북쪽 변방은 장만이 있었다고 해도 과언이 아닐 정도로 장만은 뚜렷한 족적을 남겼다.

명종 21년(1566) 통진(김포)에서 장기정(張麒禎)의 셋째로 태어난 그는 24세에 생원과 진사 양시에 합격하고, 1591년 별시문과에 급제했다. 임진왜란 직후인 선조 31년(1598) 황해도 봉산군수로 부임해 명나라군과의 마찰을 외교적 역량으로 잘 수습해 실무관료로서 부각하기 시작했다.

함경도관찰사 재직 시에는 북방 정세에 밝아 여진족에 대한 국경 침입에 대비하기도 했다. 광해 15년에는 후금의 침략을 막아내기도 했다.

인조 2년(1624) 이괄(李适)의 난을 진압한 공로로 진무공신과 옥성부원군(玉城府院君)에 봉해졌다.

이번 초상 중에서도 관복 차림의 그림에는 이괄의 난을 진압하는 과정에서 왼쪽 눈을 실명한 흔적이 고스란히 드러난다. 관복을 입은 그가 안대를 한 것이다.

반면 학창의 차림의 초상에는 이런 흔적이 없어 후대에 그림 일부를 고쳤을 가능성도 있을 것으로 보인다.

http://blog.yonhapnews.co.kr/ts1406/

taeshik@yna.co.kr

< 미국의 핵심관심사..'北ICBM' 성공 가능성은 >

< 새영화 > 한효주의 능청 매력 '반창꼬'

서울 체감 -12도 강추위…낮에도 영하권

김연아 '여왕의 귀환'…NRW트로피 참가차 5일 출국

북한, 국제해사기구에 장거리로켓 낙하지점 통보

< 연합뉴스 모바일앱 다운받기 >

< 포토 매거진 >

< 저작권자(c)연합뉴스. 무단전재-재배포금지. >

Copyright © 연합뉴스. 무단전재 -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