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장내 세균'이 성격에 영향 미친다 - 연구
[서울신문 나우뉴스]
우리 배 속에 있는 세균들이 뇌에 크게 영향을 주고 있을 가능성이 제기됐다. 동물을 사용한 일부 연구에서 장내 세균의 상황과 뇌에서 일어나는 현상 사이에 뚜렷한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시사되고 있다.
아일랜드 국립대인 유니버시티칼리지코크의 존 크라이언 교수(해부학·신경과학)에 따르면, 이런 상관관계를 보여주는 연구들이 최근 설득력을 더해가고 있다.
크라이언 교수는 과학매체 와이어드 영국판이 지난 4월 개최한 '2015 와이어드 건강' 컨퍼런스에서 "어떤 장내 세균은 정신 상태에 좋은 영향을 미칠 수 있다"며 "스트레스에 적절하게 반응하기 위해 이런 세균이 필요하다"고 설명했다.
최근 일부 연구는 이런 세균을 동물에 투여하면 불안과 스트레스에 관한 대응력이 향상하는 것을 발견했다.
크라이언 교수는 "(세균을 투여한 동물은) 불안 증세가 사라지고 편안하게 바뀌었다"며 "뇌를 조사한 결과 광범위한 변화를 볼 수 있었다"고 말했다.
이런 특수한 세균에는 이름도 있다. 바로 '사이코바이오틱스'(psychobiotics)라는 것이다. 이에 대해 그는 "대부분의 다른 박테리아는 뇌의 기능에 대한 좋은 영향을 갖지 않는다"고 말했다.
■ 장내 세균이 성격에 영향
크라이언 교수에 따르면, 쥐를 이용한 연구로 장내 세균이 행동에까지 영향을 줄 수 있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예를 들어, 장내 세균을 전혀 갖지 않도록 키운 쥐는 장내 세균을 가진 정상 쥐보다 사회적이지 못한 행동을 자주 보였는데 다른 쥐들과 보내는 시간이 적었다.
비슷한 영향은 동물의 배설물을 다른 개체에 이식해 장내 세균을 옮기는 사례에서도 볼 수 있다. 불안한 행동을 주로 보이는 쥐에 대담한 행동을 하는 쥐의 배설물 속 미생물을 이식한 결과, 이식받은 쥐는 이전보다 훨씬 더 사교적인 행동을 취하는 것이 확인됐다.
또 크라이언 교수는 "아직 초기 연구 단계에 있다"고 말하면서도 "인간의 뇌 영상을 이용한 연구에서도 동물 실험으로 확인한 장내 세균의 일부 효과가 발휘되는 것이 확인됐다"고 말했다.
이어 "이런 작용이 인간에게서도 확인되면 그 영향은 매우 큰 것"이라고 덧붙였다.
한편 크라이언 교수의 연구결과는 미국국립과학원회보(PNAS) 최근호에 실렸다.
사진=ⓒ포토리아
윤태희 기자 th20022@seoul.co.kr
[나우뉴스 다른기사 보러가기] ☞ '색마' 여교사에 시달리던 남자 고교생 결국…☞ 사무실서 '낯뜨거운 사랑' 벌인 불륜 커플의 최후☞ 수술후 배에서 진동…정체는 의사가 남긴 휴대전화☞ 美정부가 공개한 '기밀 해제' UFO 사진들☞ "9살 친딸 성노예로 팝니다" SNS 광고 파문
[ '재미'로 들여다보는 오늘의 운세] [ 서울신문 구독신청]
나우뉴스( nownews.seoul.co.kr) [ 페이스북] [ 군사·무기] [ 별별남녀] [ 기상천외 중국]
- Copyrights ⓒ서울신문사.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
Copyright © 서울신문. 무단전재, 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 '색마' 여교사에 시달리던 남자 고교생 결국..
- 영어, 죽어라 못외우더니.. 3주만에 3천개 다외워..
- 사무실서 '낯뜨거운 사랑' 벌인 불륜 커플의 최후
- 수술후 배에서 진동..정체는 의사가 남긴 휴대전화
- 美정부가 공개한 '기밀 해제' UFO 사진들
- “의원 배지 떨어진 설움” 민경욱 국회왔다 새차 견인당해
- 아파트 방화살인범 안인득, 무기징역 감형 불복 대법원 상고
- 목줄 없이 달려든 개에 놀라 전치 3주…견주 벌금 50만원
- “박사방 22GB 싸요 싸”… 아직도 조주빈은 있다
- “양질의 일자리 부족 가장 큰 원인… 직무능력으로 임금 받아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