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Q 높은 사람일 수록 평소 걱정 많아
유독 사소한 것에도 과도하게 걱정하는 사람이 있다. 매사에 불안하고 초조한 불안장애를 겪기도 한다. 연구결과, 불안장애로 걱정이 많은 사람일수록 지능지수(IQ)가 더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
↑ [헬스조선]사진-조선일보DB |
뉴욕 주립대학 다운스테이트 의료센터 정신과 제레미 코플란 교수는 18명의 건강한 성인과 26명의 불안장애 환자를 대상으로 지능지수 검사와 함께 걱정의 수준을 검사하는 설문조사를 진행했다. 그 결과 불안장애 환자 그룹은 지능지수가 높을수록 걱정 수준이 높게 나왔다. 반면, 건강한 성인그룹은 지능지수가 높으면 걱정 수준이 낮게 나타났다. 두 그룹을 비교한 결과에선 건강한 성인그룹보다 불안장애 환자 그룹의 지능지수가 전반적으로 높게 나타났다.
지능이 높은 사람이 왜 걱정이 많을까? 코플란 교수는 "걱정을 하면 두뇌 각 부분 간 연결 고리 부분이 활성화된다"며 "이 부분은 인간이 우등하게 진화할 수 있었던 핵심적인 이유"라고 말했다. 무언가를 심각히 걱정하는 행위는 예측할 수 없는 위험에 대해 생각하고 적응하는 과정인 것이다. 그 과정을 거치면서 두뇌가 발달하고 지능지수가 높아진다.
이 연구결과에 대해 한국정신건강연구소 황원준 원장은 "진화론적 관점으로는 타당한 결과이지만 보통 임상에서는 정서적인 불안 상태가 두뇌 능력을 저하한다고 본다"며 "불안정한 상태가 지속되면 한 곳에 집중하지 못해 인지능력의 효율이 떨어지기 때문이다"고 말했다.
[관련기사]
▶ "임신중 'OO' 질환 걸리면 아이 IQ 떨어져"
▶ 머리 큰 창민이 머리 작은 닉쿤보다 IQ 높을 수도
▶ 아빠가 몸으로 놀아준 아이가 IQ 더 좋다
▶ 아이의 학교 성적, 태어나자마자 알 수 있다?
▶ "오메가3 먹은 임신부, 똑똑한 아이 낳는다"
- Copyrights 헬스조선 & HEALTHCHOSUN.COM,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
Copyright © 헬스조선.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출렁거리는 나잇살, ‘이 영양소’ 섭취해야 잘 빠진다
- 소리 지르거나 주먹 휘두르는 잠꼬대, 뇌종양 신호라고?!
- 변비 낫게 하는 ‘수면 자세’가 있다! ‘이쪽’으로 돌아 누워서…
- 툭하면 재발하는 위궤양, 대체 어떻게 뿌리 뽑지?
- ‘남자 친구가 해외 발령’… 임신 늦어질까 걱정인 女, “난임 시술 성공률 얼마?”
- “수면 보조제 없이도 숙면” 생활 습관 ‘이렇게’ 바꾸면 불면증 끝!?
- “음악 감상 좋아하세요?” 상상 이상의 효과 있다는데…
- “운동 효과 확 올린다”… ‘2025년 세계 1위 병원’이 추천한 방법 5가지는?
- “병원 가면 약 먹인다”는 오해… 우울증, 꼭 진료 받으세요
- [소소한 건강 상식] 나이 들면 왜 산신령처럼 눈썹이 길어질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