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사장(국정원 대공수사국 과장)' 발뺌.. 국정원 入口서 막힌 증거조작 수사

류정 기자 2014. 3. 15. 03:03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서울시 공무원 간첩 사건에서 증거 위조를 지시한 의혹을 받고 있는 국정원 대공수사국 김모 과장(일명 '김사장')이 혐의를 전면 부인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국정원 협력자 김모(61)씨와 선양총영사관 이모 영사가 "국정원 본부의 요청으로 서류를 임의로 만들었다"고 자백한 데 반해, 이들의 증거 위조 과정을 총괄한 혐의를 받고 있는 김 과장이 "위조 사실을 전혀 몰랐다"고 주장함에 따라 국정원 본부에 대한 검찰 수사가 벽에 부딪혀 있다.

김 과장은 최근 증거 위조 사건을 수사 중인 서울중앙지검 특별수사팀(팀장 윤갑근)의 소환 조사에서 "서류들이 위조됐다는 것을 전혀 몰랐다"며 "나도 몰랐는데, 내 윗선이 어떻게 알았겠느냐"고 진술한 것으로 알려졌다.

국정원 대공수사국 지휘라인 가운데 사실상의 첫 단추인 김 과장부터 혐의를 부인하면서, 확실한 물증을 확보하지 못할 경우 김 과장 윗선으로 치고 올라가는 수사가 상당히 어렵게 진행될 것이란 전망이 나온다. 이 사건과 관련된 국정원 대공수사국 지휘라인은 남재준 국정원장을 정점으로 서천호 2차장, 이모 대공수사국장, 대공수사처장과 팀장 등으로 내려간다.

검찰 수사는 중국 현지에서 작업을 했던 국정원 관련자들의 입이 열리면서 순항하는 듯했다. 자살을 시도했던 국정원 협력자 김씨는 "싼허변방검사참에 유우성씨를 고발한 것처럼 꾸민 '신고서'와 이에 대한 '답변서'를 가짜로 만들어줬다"며 "신고서가 가짜라는 것을 '김사장'도 알고 있다"고 진술했다. 또 국정원에서 선양으로 파견 나가 있던 이 영사는 "본부의 독촉으로 사실 확인 없이 '가짜 영사 확인서'를 만들어줬다"고 진술한 것으로 알려졌다. 두 사람은 모두 "본부에서 문건에 들어갈 내용과 일부 문구(文句)까지 요청받았다"고 진술한 것으로 전해졌다.

김 과장은 그러나 이에 대해 "유우성씨가 제출한 싼허변방검사참 설명서에 반박할 자료를 구해달라고 요청했을 뿐, 자료를 가짜로 만들어 오라거나 임의로 작성하라고 지시한 적은 없다"고 주장하는 것으로 알려졌다. 검찰은 이 영사와 협력자 김씨의 진술, 관련 문건들을 분석한 결과 김 과장이 최소한 증거 위조를 묵인하거나 지시했다고 보고 있다. 검찰은 김 과장 선에서 증거 위조 행위가 실행됐을 가능성이 낮다고 보고 증거 위조 관련 사실을 상부에 보고한 흔적이 남은 자료 등을 찾는 데 주력하고 있다.

- Copyrights ⓒ 조선일보 & chosun.com,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

Copyright © 조선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