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국의 금융위기 원인과 해법을 찾는다
'조지 소로스…','미국은 왜 신용불량 국가가…' 등 출간
(서울=연합뉴스) 황희경 기자 = 미국의 서브프라임모기지론(비우량주택담보대출) 부실 사태로 인한 세계 금융시장의 불안이 계속되고 있는 가운데 미국의 신용버블 원인을 분석하고 그에 대한 해법을 모색하는 책 2권이 나란히 나왔다.
'조지 소로스, 금융시장의 새로운 패러다임'(위즈덤하우스 펴냄)은 헤지펀드인 퀀텀펀드의 회장 조지 소로스가 최근의 금융위기 원인과 금융위기의 향후 파장에 대한 예측을 내놓은 책이다.
소로스는 "세계 대공황 이후 최악의 금융위기가 진행되고 있으며 주택 버블 위에 지난 25년간의 유동성 버블이 얹혀 슈퍼 버블을 만들었다"고 진단하고 "이제 더 이상 거품을 지탱할 수 없는 지점에 도달했고 미국 주택대출시장은 완전히 붕괴하고 있다"고 말한다.
그는 '재앙과 파멸'을 막기 위한 방법으로 낡은 패러다임, 즉 '시장이 스스로 균형을 찾아간다'는 '균형이론'을 버리고 시장의 실제 움직임에 관한 새로운 개념적 틀을 정립해야 한다고 주장한다.
소로스는 그러나 미국의 경기침체가 불가피하긴 하지만 미국의 침체가 전 세계적인 경기침체로 이어지지는 않을 것으로 예측한다.
세계 다른 지역에서 진행되는 강력한 경기 확장이 미국의 경기 침체 및 유럽과 일본의 성장둔화를 상쇄해 훌륭하게 균형을 맞출 것이라는 게 그의 설명이다. 황숙혜 옮김. 이상건 감수. 287쪽. 1만5천원.
투자은행에서 경력을 쌓은 경제전문변호사인 찰스 R.모리스는 '미국은 왜 신용불량 국가가 되었을까?'(예지 펴냄)에서 1987년의 주식 시장 붕괴 사태인 '블랙 먼데이'와 1994년 저축대부조합 위기, 1998년 파산한 롱텀캐피탈매니지먼트(LTCM) 등 세 가지 사건이 신용버블의 전조였다고 분석한다.
그는 이 세 가지 사건을 통해 금융당국의 시야가 닿지 않는 사각지대가 커졌으며 세분화된 금융시장에서 대리인(Agency), 즉 고객을 대신해 거래하는 금융회사들이 의뢰인의 이익에 부합하는 행동을 하지 않게되고 또 투자의사결정이 수학적 도구에 점점 더 의존하고 있음이 드러났다고 보고 이것들이 함께 작용해 2000년대의 신용버블 붕괴를 일으켰다고 이야기한다.
이에 대한 대책은 '미국의 대전환'이다. 규제완화로 인해 불투명해진 위험상품 정보를 다시 투명하게 유통해야 하고 그러기 위해서는 정부가 금융산업에 대한 효과적인 감독체계를 복구하는 일이 우선순위가 돼야 한다는 것. 비록 시카고 학파들은 정부가 가장 문제라고 이야기하지만 정부는 문제를 해결하는데 중요한 역할을 수행하는 경우가 더 많다는 게 저자의 시각이다. 송경모 옮김. 294쪽. 1만3천800원.
zitrone@yna.co.kr
<※마음대로 퍼가고 무료로 즐기는 "연합뉴스 포토 매거진">
<연합뉴스 긴급속보를 SMS로! SKT 사용자는 무료 체험!>
<실시간 올림픽뉴스는 LGT M-Sports와 함께 **7070+Ez-i>
<저작권자(c)연합뉴스. 무단전재-재배포금지.>
Copyright © 연합뉴스. 무단전재 -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 57년 전 "무장공비 왔다" 신고한 나무꾼, 故 김신조 마지막 배웅 | 연합뉴스
- 배우 손담비 득녀…"산모와 아이 모두 건강" | 연합뉴스
- "고사리철엔 조심"…제주서 고사리 캐던 50대 뱀에 물려 병원행 | 연합뉴스
- "분홍색 신발 맞네"…실종아동 발견한 운전자의 눈썰미 | 연합뉴스
- "왜 늦게 들어와" 내연남에 흉기 휘두른 50대 여성 현행범 체포 | 연합뉴스
- 마스터스 골프 경기 중 아마추어 선수 코스 개울에 방뇨 | 연합뉴스
- 인도서 이틀새 벼락 맞아 최소 35명 사망…네팔서도 5명 숨져 | 연합뉴스
- 뉴욕 관광 헬기 추락사고로 지멘스모빌리티 CEO 일가족 참변 | 연합뉴스
- '가수 김정민 아들' 다니, 일본 대표로 U-17 아시안컵서 득점포 | 연합뉴스
- '근무지시 안 따라' 부하직원 마구 폭행한 시중은행 지점장 집유 | 연합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