욕먹을 각오로.. 위안부에 대한 '상식'에 되묻다

김범수기자 2013. 8. 11. 20:53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제국의 위안부' 출간한 박유하 교수

소녀 20만명 강제연행?

한일 정신대 숫자 포함된듯

조선인 위안부들은 점령지 출신과 다른 대우

일본군의 조직적 범죄?

관여한 것은 사실이지만 강제연행은 업자 소행 가능성

'희생자 영웅화' 소녀상은 모순

한일 협의체 만들어야

日에 법적 배상 요구 비현실적

한일협정의 한계 지적하며 日정부에 먹힐 논리 제시를

"위안부의 피해는 보상되어야 하지만 조선인 위안부는 한국이 바라는 방식으로 기림을 받기에는 모순이 없지 않은 존재다."

박유하(56) 세종대 교수는 최근 출간한 <제국의 위안부>(뿌리와이파리 발행)에서 이렇게 말한다. 주한 일본대사관 앞 위안부 소녀상으로 대표되는 한국 사회의 위안부 이미지에 대해 문제 제기하는 이 책에서 그가 말하는 '한국이 바라는 방식'은 이런 것이다. 아시아태평양전쟁 당시 조선인 군위안부가 군복을 입은 일본군의 총칼 위협을 받아가며 강제로 끌려갔고 거기서 무수한 고문까지 당하며 강제로 하루에 수십 명의 일본군을 감당해냈으므로, 이 명백한 범죄 행위에 대한 해결은 일본 정부의 사죄와 법적인 배상밖에 없다.

박 교수는 조선인 위안부에 대한 한국 사회의 이 같은 '상식'은 진실이 아니라고 말한다. '일본군은 해외의 전쟁터나 오지까지 와주는 종군위안부가 필요했지만 사기나 속임수를 써가며 모집하는 일까지 일본군의 의도였다고 단정할 수는 없다. 위안부들이 가혹한 노동을 하게 된 것은 분명 일본군이 그런 시스템을 허용하고 묵인하고 이용했기 때문이지만, 그에 따른 처벌을 일본군에게만 돌릴 수 없는 상황이 존재한다'는 것이다.

그가 인터넷 같은 곳에서 때로 '친일파'로 매도 당하는 것은 이런 주장이 언뜻 위안부 책임을 회피하려는 일본의 상투적인 논리와 닮았기 때문인지도 모른다. 일본의 행태를 비판하기 앞서 정신대문제대책협의회 같은 위안부 지원단체의 논리적인 허점부터 조목조목 파헤치고 드는 접근을 불편하게 여기는 사람도 적지 않을 듯하다.

하지만 그는 '조선인 위안부의 증언과 전파에서 과장과 왜곡이 발생'했고 그것이 교육을 통해 진실로 굳어지는 사이 '우리가 보고 싶지 않고 버리고 싶은 얼굴만을 굳이 확대해서 보려 하는 일본인들이 늘어가는 중'이라고 말한다. 위안부에 대해 서로 받아들이기 편한 이미지만을 그려가고 있기 때문에 한일 관계도 탈출구를 찾지 못하고 있다는 것이다. 박 교수를 최근 한국일보 편집국에서 만났다.

-위안부가 대표하는 식민지 체험은 기념되기에는 너무나 많은 모순을 안고 있는 체험이라고 말했다.

"희생된 사람이 많다. 그런 사람에 대한 장소는 필요하다. 지금의 위안부 상황은 표면적으로는 희생을 기리는 것이지만 소녀상에 대해 말하자면 투사 유관순식 영웅화는 모순이다. 조선인 일본군도 많이 있다. 그들은 주목 받지 못했다. (조선군 위안부를 평가하는 것은)조선인 일본군을 우리 안에서 정리하는 문제와 유사하다. 크게 보면 그들과 같은 희생자다."

-위안부 모집이 일본군 또는 정부의 조직적인 범죄 행위가 아니라고 보는 것인가.

"일본군은 분명히 관여를 했다. 군이 위안부를 필요로 한 것도 사실이다. 하지만 위안소가 여러 종류 있었다는 것을 알아야 한다. 군 전속시설도 있었지만 업자가 운영한 것도 있었다. 전시 근로 동원 여성인 정신대는 국민 동원의 형태였기 때문에 강제 동원도 있었다. 하지만 위안부는 경찰이나 군인이 와서 강제 연행한 것은 아니다. 일부 강제 연행은 군속 대우를 받은 업자 등의 행위였을 가능성이 높다."

-위안부 소녀상에 문제가 있다고 말했다.

"소녀상으로 대표되는 '20만명 소녀 강제 연행'이 상식처럼 되어 있지만 사실과 다르다. '20만'은 한국과 일본을 합한 정신대 숫자를 위안부로 오해한 것일 가능성이 높다. 특히 당시 일본의 식민지였던 조선의 위안부는 예를 들면 일본군이 점령지에서 모집한 위안부들과 다른 대우를 받았다. 네덜란드인 강제 연행이나 중국인 강간 등은 사실이지만 그것을 조선인 위안부에 일반화하는 것은 다른 사람의 피해에 얹혀 가는 것이다."

-위안부 운영의 실체적인 진실은 무엇인가.

"올해로 발표 20년을 맞는 일본의 고노 담화에 담겨 있다. 그 내용을 살펴보면 강제 연행은 인정하지 않는다. 하지만 군의 관여는 인정한다."

-그 담화를 수정하려는 움직임이 현 일본 정부 내에서 벌어지고 있다.

"지금 상태로라면 수정할 가능성이 있다. 그러지 않기 위해서라도 위안부 문제를 되돌아보고 합리적으로 풀어갈 협의체를 만들어야 한다."

-어떤 방향으로 가야 한다고 보나.

"진실이 무엇인지를 우선 알아야 한다. 한국의 지난 정권에서 '인도적 조치'를 이야기했는데 그 같은 수준의 국고금 보상 조치도 있어야 한다. 무엇보다 한일간 협의체를 만드는 게 필요하다. 위안부 당사자와 지원 단체, 학자, 정부 당국자 등 喚窩微?대화하고 그런 활동을 알려야 한다."

-가해자로서 일본의 책임은 여전히 막중한 것 아닌가.

"물론이다. 그런 의미에서도 아베 정부를 설득해야 한다. 설득할 수 있다고 본다. 먹혀 들어갈 논리를 제시해야 한다. 1965년 한일협정으로 법적 해결이 끝났다고 일본 정부에서 말하면 식민지 지배 사죄 의식이 없었다는 문제를 지적해야 하고, 그에 대해 '여성을 위한 아시아평화국민기금'으로 끝났다고 하면 한국에서 반발해 그 사죄가 충분히 수용되지 않았다는 점을 이야기해야 한다."

김범수기자 bskim@hk.co.kr

[ⓒ 인터넷한국일보(www.hankooki.com),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Copyright © 한국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