빛고을 '항쟁의 횃불'..28년뒤 '공감의 촛불'

2008. 5. 17. 15:51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한겨레] 80년 궐기대회 사회 김태종씨학살자에 대한 분노 '광우병 분노'로 이어져"촛불 보면서 희망 봅니다"

28년이 흘러 찾아온 5월에 그가 다시 광장에 섰다. 서울시청 앞 광장에서는 그 때처럼 애국가가 흘러나왔지만, 엄숙함이나 비장함 대신 발랄함이 있었다. 또 총 대신 촛불과 손팻말이 자리했다. 곳곳에서 10대들이 "미친소 너나 먹어" 등의 구호를 외치고 있었다.

1980년 5월23일부터 항쟁이 끝난 27일까지 시민들과 호흡하는 '시민 총궐기대회'의 사회자였던 김태종(49)씨는 "그때나 지금이나 근본은 똑같다"고 말했다. 그는 "당시 시민들은 '국민 세금을 받는 군인이 어떻게 시민을 학살할 수 있느냐'며 분노했다"며 "지금도 시민들이 '우리가 뽑은 대통령이 어떻게 우리에게 미친 쇠고기를 강요할 수 있느냐'며 떨쳐 일어선 것"이라고 말했다. 결국 '인간에 대한 예의'를 지키지 않은 정부에 대한 분노가 시민들을 광장으로 이끌었다는 설명이다.

그는 한때 실망한 적도 있지만 여전히 희망을 간직하고 살아간다. 대학을 떠나 학원강사 생활을 하면서도 시민단체 활동을 했다. 90년대 들어 광주 민주화운동의 보상을 둘러싼 반목이나, 정치권에 들어간 386세대의 행태에 대해 실망도 했다. 하지만 "역사는 굴곡은 있지만 계속해서 발전한다"는 믿음을 갖고 있다.

"촛불집회에 젊은 사람들이 참여하는 것을 보면서 희망을 본다. 젊은 세대에 개인주의, 이기주의가 팽배해 있다고 하지만 촛불집회에 참여하면서 세상과 우리라는 공동체에 대한 생각을 갖게 될 것이다. 어떤 학생이 '(광우병 걸린 쇠고기를 먹고) 내가 죽는 것은 상관없지만 내 가족, 내 친구가 죽는 것은 못 참겠다'고 말하는 것은 생각이 공동체로 확대되는 것을 뜻한다."

큼직한 집회를 자주 치른 그는 조언도 있지 않았다. "1980년 5월23일 폭우가 내렸는데, '돌아가신 영령들이 흘리는 눈물'이라며 말해 모두 우산을 접고 자리에 않기도 했다"는 김씨는 "요즘 집회에는 10대가 적극 참여할 수 있도록 공연 등 흥미거리도 있어야 한다"고 조언했다.

76학번인 김씨는 10년만인 1985년 대학을 졸업하고 학원강사, 학원장을 거쳐 경기도 파주 헤이리에 둥지를 틀었다. 현재 와플을 구우며 카페와 소극장을 운영하는 그는 18일에는 영화 '화려한 휴가'를 상영하면서 그날을 보낼 계획이다.

새벽 확성기 가두방송 차명숙씨

5·18 동지회와 손잡고 안동서 주먹밥 행사"촛불집회로 이어졌으면…"

시민들이 계엄군에 맞아 피를 흘리는 것을 보고 앰프와 확성기를 빌려 "당신의 아들 딸들이 다 죽어가고 있다. 빨리 나와서 광주를 지키자"며 가두방송을 하고 다녔던 차명숙(47)씨는 17일 오후 4시부터 경북 안동 옥동 문화의 거리에서 '주먹밥 돌려주기' 행사를 연다. 이 행사는 저녁 7시부터는 미국산 쇠고기 수입에 반대하는 촛불 문화제로 이어진다.

지난 14일 대구시 옥동 대구은행 인근에서 그가 운영하는 식당 '행복한 집'에서 만난 차씨는 지인들과 늦도록 주먹밥 행사를 준비했다. 가수 김이난(36)씨는 행사 예산이 부족하다는 말을 듣고 노래 봉사에 개인용 음향 장비까지 지원하겠다고 나섰다. 평범한 시민인 조효래(42)씨는 주먹밥 행사를 알리는 전단지 인쇄비를 보탰고, 권기혁(44)씨 부부는 주먹밥을 함께 만들기로 했다.

차씨는 "안동에서 처음 열리는 주먹밥 행사에 이어 열리는 촛불 문화제에서 농민과 교사, 시민들이 자유롭게 의견을 이야기하는 자리가 되길 바란다"고 말했다.

지난해 5월 광주에 갔다가 왠지 허전한 마음이 들었던 차씨는 올해 대구·경북 5·18동지회와 안동시민연대에 주먹밥 행사를 제안했다. 80년 5월 시민들이 시민군들에게 건넸던 주먹밥은 연대의 의미가 담겨 있다.

차씨는 지난 11일 서울 여의도에서 열린 촛불 문화제에 참석했다가 둘째 아들(22)을 만났다. 그는 "전경으로 근무중인 아들이 촛불 문화제로 비상대기 상태라고 해 함께 웃었다"며 "80년 당시의 급박했던 시위 모습과 달리 지금은 모든 사람들이 미국산 쇠고기 수입이나 교육 문제를 거침없이 이야기하는 것이 꼭 잔치집 같더라"고 말했다.

80년 경찰에 연행돼 모진 고문과 조사를 받고 군사법정에서 10년형을 선고받은 그는 81년 12월 가석방으로 출소한 뒤 서울에서 남편(47)을 만나 89년 안동으로 내려왔다. 차씨는 "80년 5월에도 공동체의 힘을 느꼈다"며 "마음이 아파도 주변에서 힘을 주는 사람들이 있기 때문에 나는 행복한 사람"이라고 말했다.

이정훈, 안동/정대하 기자

ljh9242@hani.co.kr

ⓒ 한겨레(http://www.hani.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신뢰도 1위' 믿을 수 있는 언론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

<한겨레는 한국온라인신문협회(www.kona.or.kr)의 디지털뉴스이용규칙에 따른 저작권을 행사합니다.>

Copyright © 한겨레.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재배포 및 크롤링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