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통 한약으로 당뇨 치료, 미국 SCI 국제 학술지 등재.

2014. 12. 1. 16:52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미국에서 한의학 치료가 날로 큰 인기를 끌고 있다. 비과학적이라는 편견이 사라진 데다 미국 의료보험 혜택도 확대되면서 뉴욕시에만 한의원이 500곳이 넘게 생겼으며 침을 맞고, 부항 뜨고, 한약을 먹는 모습이 이제 흔해졌다.

'애큐펑처'로 불리는 한의학 침술 치료는 미국에선 이미 대중화된 지 오래다. 최근엔 양약의 부작용에 대한 우려가 커지고 있으며 한의학 치료를 병행해보라는 현지 의사의 의견을 듣고 한의원 치료를 위해 오는 환자가 급속히 늘고있다.

2014년 4월 미국 정통 시사 주간지 타임지에 소개된 기사에 따르면, 미국 클리브랜드 병원에서는 최신 연구 지견을 토대로 하여 한약 처방을 실시하고 있으며 하버드 의대 역시 침술을 비롯한 동아시아 전통 의학에 대한 연구 성과를 쏟아내고 있는 실정이다. 이처럼 한약재에 대한 치료 효과에 대한 연구가 큰 성과를 내고 있는 와중에 미국 SCI 학술지에 전통 한약을 이용한 당뇨 치료가 효과가 있다는 것을 입증한 국내 임상 사례 논문이 등재되어 큰 관심을 받고 있다.

경희생한의원 김지만 원장은 미국에서 발간되는 SCI급 국제 학술지 'Complementary Therapies in Medicin'에 전통 한약 치료로 2형 당뇨 환자 수십 여명을 치료한 결과 한약 치료를 받은 환자 전원의 혈당이 낮아졌으며 혈당 조절 능력이 개선된 것을 확인한 한방 당뇨 치료 효과에 대한 임상 사례 연구를 유의한 자료로 인정받아 논문을 등재하였다.

당뇨병은 제1형과 제2형으로 구분되는데, 인슐린이 상대적으로 부족한 제2형 당뇨병은 인슐린 저항성(insulin resistance; 혈당을 낮추는 인슐린 기능이 떨어져 세포가 포도당을 효과적으로 연소하지 못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제2형 당뇨는 식생활의 서구화에 따른 고열량, 고지방, 고단백의 식단, 운동 부족, 스트레스 등 환경적인 요인이 크게 작용하는 것으로 보이지만, 이 외에 특정 유전자의 결함에 의해서도 당뇨병이 생길 수 있으며, 췌장 수술, 감염, 약제에 의해서도 생길 수 있다.

이번 당뇨 치료 논문의 제목은 'Effect of Yeonryeonggobon-dan (YRGBD), an herbal complex, on glycemic control in patients with Type 2 diabetes mellitus: A case series' 으로 제2형 당뇨를 우리나라 전통 한약으로 치료한 임상 사례 연구 논문이다.

이 논문에서 보여주는 결과는 당뇨병에 관하여, 국내의 한방 치료에 대한 부정적인 인식과 달리 한약 치료가 실제로 당뇨병에 대해 유의적 효과가 있음을 보여주는 결과이다.

이 논문의 제1저자인 경희생 김지만 원장은 이미 당뇨, 당뇨합병증, 신장질환(신부전), 갑상선 등 난치성 질환의 연구를 통해 전신 순환과 장부의 이상 즉 몸의 전체적인 문제로 인식해 체질에 따른 맞춤 한약 처방으로 임상 치료를 해왔고, 그 결과 이번 논문 소개 외에도 미국, 유럽 등 해외 전문 저널을 통해 당뇨, 당뇨합병증, 신장질환, 만성 전립선염 등 난치성 질환에 대해 한방 치료 임상 사례 논문을 꾸준히 발표한 사례가 있다.

영국 내분비계 당뇨 및 대사 의학 전문 학술지인 'Endocrinology, Diabetes & Metabolism'에 개인 체질별 한약 치료를 통한 당뇨 합병증으로 인한 당뇨병성 신부전 3기 환자 사례 연구를 통해 우리나라 전통 한약치료가 5개월간 ACE inhibitor(고혈압 치료제) 투여하고, 혈압과 혈당을 조절하는 치료에도 호전이 없던 병세를 호전시킨 유의한 임상 자료로 인정받아 게재하였다.

또한 IgA 신증 치료 임상 사례 연구 논문을 국내 대한한방내과학회에서 발표한 사례가 있으며, 지난 1월에는 만성 전립선염의 원인을 체내 면역체계와 호르몬 이상으로 보고 한약치료를 시행한 임상 사례 연구 논문이 미국 의학 전문 저널에 등재하였다.

경희생한의원 김지만 원장은 이번 미국 SCI 국제 학술지에 실은 논문을 포함하여 기존에 미국과 유럽 등 국내외에 발표했던 논문에서 정확한 검사데이터를 가지고 체질 판별과 한약 투여가 당뇨병이나 당뇨합병증, 신부전 등에 효과적일 수 있음을 증명 했고 이를 인정받아 임상 사례로 논문 게재에 성공할 수 있었다.

Copyright © 한경비즈니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