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투명전자피부' 상용화 활짝
피부에 붙여도 티 나지 않는 투명한 '전자피부(Electronic Tattoo)'를 만들 수 있는 길이 열렸다. 사람 피부 등에 스티커처럼 붙여 디스플레이, 생체신호 측정 등에 활용할 수 있을 전망이다.
박장웅 UNIST 교수(신소재공학부), 배병수 KAIST 교수, 추혜용 ETRI(한국전자통신연구원) 단장 공동연구팀은 반으로 접거나 잡아당겨도 전기적 특성이 유지되는 고성능 '그래핀 투명전극' 기술을 개발하고, 이를 이용해 피부나 유리, 나뭇잎 등에 쉽게 붙일 수 있는 투명 전자회로도 구현했다. 이 기술의 가장 큰 특징은 그래핀 복합체를 이용해 투명전극의 저항을 기존보다 20배 이상 낮췄다는 점이다.
이를 통해 휘어지는 디스플레이나 회로, 센서 등으로 활용할 수 있는 전자피부도 구현할 수 있었다.
박 교수팀은 그래핀을 금속섬유와 결합해 기존 그래핀 투명전극의 문제점을 해결했다. 수 미터까지 길게 늘인 금속섬유는 연결저항을 줄였고, 그래핀 복합체를 통해 전자들이 잘 이동할 수 있어 저항값도 매우 낮아졌다. 그래핀 복합체 제작은 기존 디스플레이·반도체 공정을 그대로 적용해 전극 패턴을 쉽게 만들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이번에 개발한 그래핀 투명전극은 기존보다 저항값이 250배 가량 낮다. 투명전극 소재로 주목받는 금속 나노와이어와 비교해도 20배 이상 저항값이 낮은 우수한 전기적 특성을 보였다. 공기 중에 장시간 노출하거나 열을 가해도 산화되지 않고 유연성과 신축성도 우수했다.
박장웅 교수는 "기존에도 전자피부나 전자타투 등의 연구가 이뤄졌지만 회로나 패턴들이 그대로 보이는 문제가 있었다"며 "이번에 구현한 전자피부는 모든 물질을 투명하게 만들었기 때문에 어디에 부착해도 보이지 않아 실용적으로 사용 가능할 것"이라고 말했다.
이 연구결과는 나노 분야 권위지인 '나노레터스' 20일자 온라인판에 게재됐다.
백나영기자 100na@
< Copyrights ⓒ 디지털타임스 & dt.co.kr,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
Copyright © 디지털타임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사양 높이고 가격은 그대로.. 일본차의 승부수
- 중고폰·중국폰 공습에.. 삼성·LG, 중저가폰 출시 임박
- '로맨스의 일주일' 한고은, 탄탄한 비키니 몸매에 숨 넘어가는 마띠아
- '미생' 임시완, '연기돌' 꼬리표 뗐다! '딱풀이 뭐길래..'
- 단통법 논란에 정부 '특단의 조치'는 뭐?..
- 시진핑, 미중 관세전쟁 속 동남아서 `반미 세몰이`…각국 레드카펫 뒤 딜레마
- 이재명, 대선 초기 `조용한 경선` 모드… 사법리스크 부각 자제 행보
- 1350원까지는 내려가야 하는데, 1400원 덫에 갖힌 원화
- "유연하다"는 트럼프에 700조로 화답한 엔비디아… 삼성·SK 어쩌나
- 추경 12조 어디서 늘었나… 산불 재해 3조·소상공인 크레딧 50만원 등